다만 의심할 뿐!
상태바
다만 의심할 뿐!
  • 관리자
  • 승인 2007.01.16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선가귀감 강설 11

제27장

願諸道者, 深信自心, 不自屈不自高.

바라건대, 수도하는 사람들은 깊이 자기 마음을 믿고, 스스로 뒤로 물러나거나, 스스로 잘난 체하지 말지니라.

이 마음은 평등하여 본래 범속함과 성스러움이 없느니라. 그러나 대개 사람에게는 어두운 이와 깨친 이가 있고, 범부와 성인이 있느니라.

스승의 깨우침에 힘입어 홀연 ‘진아(眞我)가 부처와 다름이 없음’을 깨달음은 이른 바 돈오(頓悟)라고 하느니라. 이런 까닭에 스스로 물러나지 말지니라. 『육조단경』에서 노(盧) 행자가 돈오를 이르시되, “본래무일물(本來無一物)이라, 본래 한 물건도 없느니라.”라고 하였느니라.

깨친 후에 익힌 습기(習氣)를 점차 끊어 가면서, ‘범부를 고쳐 성인이 되게 함’은 이른바 점수(漸修)라고 하느니라. 그러므로 스스로 높이지 말지니라. 『육조단경』에서 신수(神秀) 스님이 점수를 이르시되, “시시근불식(時時勤拂拭)하라, 부지런히 털고 닦을지니라.”라고 하였느니라.

물러나는 저(低) 자세는 교학자의 병통이고 스스로 높이는 고(高) 자세는 선학자의 병통이니라.

교학자는 참선 문 안에서 깨쳐 들어가는 비결이 있는 것을 불신하고, 방편의 가르침에 깊이 걸려 참과 거짓을 달리 집착하며 관행(觀行)을 닦지 않고, 남의 보배만 헤아려서 스스로 물러나는 마음을 내는 것이니라.

선학자는 교문에서 닦고 끊어가는 정도의 길이 있는 것을 불신하고, 물든 마음과 익힌 습기(習氣)가 일어날지라도 부끄러움을 낼 줄 모르며, 공부의 수준이 겨우 초심자임에도 불구하고 법에 대한 우쭐한 생각이 많아 스스로 높이는 말을 하는 것이니라.

그러므로 바른 뜻을 가진 수심자(修心者)는 양극단으로 스스로 물러나는 자세나 스스로 높이는 자세를 취하지 말지니라. 평하여 이르되, “스스로 물러나는 자세나, 스스로 높이는 자세를 취하지 말라”는 말은 무슨 뜻인가.

그것은 불생불멸(不生不滅)의 입장에서 보면 다 원만한 둥근 원과 같아, 초발심 때라도 벌써 중생의 시작점이 부처의 완성점과 맞닿아 중생이 곧 부처로 하나이기 때문이며, 또한 생멸(生滅)의 입장에서 보면 보살의 완성이 있기까지는 초발심에서 점차 수행해 오르는 55위의 단계가 분명히 있기 때문이니라.

강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