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밀레종 ─뜨거운 신심의 소리
상태바
에밀레종 ─뜨거운 신심의 소리
  • 관리자
  • 승인 2009.04.27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우리 얼 우리 문화

   경주박물관 입구에 들어서면 그 앞뜰 종각에 매달려 있는 커다란 종이 제일 먼저 눈에 뜨인다. 우리가 보통 에밀레종이나 봉덕사(奉德寺)종이라고 부르는 이 종은 본 이름은 성덕대왕 신종(聖德大王神鐘)으로 현재 우리나라에 남아있는 신라시대의 범종 가운데서 가장 크고 아름다운 종소리를 갖고 있다.

   신라의 범종은 임진왜란 때 상당수가 일본으로 건너갔고 지금 우리에게 전해지고 있는 것은 3구 뿐이다. 첫째는 오대산 상원사에 있는 범종으로 725년에 만들어 진 것이고 둘째는 청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범종으로 확실한 제작연대를 알 수 없으나 그 만든 기법으로 보아 신라 말기의 것으로 추정되는 종이다.

   에밀레종은 771년에 완성되었는데 이 종 하나를 만드는데 걸린 시간은 무려 28년이었다. 곧 경덕왕(景德王)이 돌아가신 아버지 성덕대왕을 위해여 동(銅) 12만근을 들여 큰 종을 만들려 하였으나 완성을 보지 못한 채 돌아갔고, 다시 그 아들인 혜공왕(惠恭王)이 그 뜻을 이어 왕위에 오른지 5년만에 성공하였다. 경덕왕은 왕우에 23년간 재위하였으므로 결국 2대에 걸친 기간은 28년이 되는 것이다.

   에밀레종은 그 높이가 3.33m, 지름이 2.27m이며 동 12만근을 지금의 무게로 환산하면 약 20톤에 달하는 큰 종이다. 그러나 신라에는 이보다도 훨씬 더 큰 종이 있었다. 바로 황룡사의 종으로 경덕왕 13년(754년_에 완성되었는데 그 무게가 49만7천근이었으니 에밀레종보다 4배가량이 더 큰 종이었다.

   이 황룡사종은 그 후 500년 뒤인 1238년(고려 고종(高宗) 16년) 겨울에 몽고군의 침입을 받아 황룡사 구층탑과 함께 불길속으로 자취를 감추었다. 원래 황룡사 구층탑은 큰목탑으로 선덕여왕 때인 645년에 처음 완공되어 그 위용을 드러냈었고 그 후 다섯차례나 벼락을 맞았으나 그 때마다 보수하여 600년을 견뎌오더니 결국 몽고병의 방화로 장육존상(丈六尊像), 황룡사종과 함께 잿더미로 화하였다. 그 당시 구층탑의 불길이 사흘 밤낮을 멈추지 않았다고 하니 그 웅장했던 규모를 짐작하고도 남는다 하겠다.

   에밀레종은 완성된 후 봉덕사에 걸어두었으므로 그 후 봉덕사종이라고 불리웠으나 1460년에는 영묘사(靈妙寺)로 옮겨졌으며 다시 경주 봉황대 옆 남문(南門)밖에 두었던 것을 1915년 경주박물관 옛 건물로 옮겨놓았다. 경주박물관이 지금 위치에 새로 건축되자 에밀레종도 또 이 곳으로 옮겨져 그 앞뜰에서 관람객을 맞이하게 되었다.

   마땅히 사찰의 종각에서 아침 저녁으로 지옥까지도 깨뜨릴 법음(法音)을 들려주어야 할 이 에밀레종이 갈 곳을 잃고 이 곳 저 곳을 전전하며 관람객의 구경거리나 된 것을 생각하면 너무나 안타깝고 슬픈 마음이 인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