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송의 건강학
상태바
염송의 건강학
  • 관리자
  • 승인 2009.04.2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현대인의 정신건강

불교이전의 고대인도에서는 주력(呪力)을 활용하여 어떤 효과를 보고자 하는 주술 · 주법(呪法)이 크게 발달해 있었다. 고대인도에서의 주법을 대표하는 문헌자료로서는 「아탈바 · 베다」를 들 수가 있다. 「아탈바 · 베다」가 기록하고 있는 주법은 대체로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병마를 제거하는 치료법, 건강유지와 연명을 위한 장수법, 위해를 가져다 주는 위험한 요소를 파괴하는 조복법(調伏法), 남녀간의 애정문제와 아이들의 탄생에 관련된 부녀법, 대인적인 조화융합을 도모하는 화합법, 번영의 실현을 도모하는 중익법, 죄과적인 요소를 제거하는 속죄법으로 분류된다.

그러나 후세에 이르러 종교가 발달함에 따라 주법의 영향력은 저하 되었다. 하지만 질병의 치료나 재산모으기 등의 여러 가지 현세적인 소망을 이루어지게 하여 준다고 믿어지는 진언(만트라)은 계속하여 주술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불교성립 초기에는 이와같은 진언의 사용은 일단 금지되었다. 불교의 이상은 어디까지나 깨달음의 실현 즉 열반의 달성에 있다고 생각하였기 때문이다. 그렇다고는 하나 이와같은 합리적 측면과는 별도로 불교내부의 일반적 수준에서는 현실상의 문제로서 주법이 계속하여 활용되었다.

부처님 입멸후의 부파불교시대에 이르러서 설일체유부(設一切有部)에서는 열반의 의미와 열반에 이르는 수행계제를 상세하게 규정했다. 즉 「초전법륜경」에 기록된 부처님의 수행의 모습을 모델로 하여 계 · 정 · 혜(戒 · 定 · 蕙)의 삼학을 수행하는 것을 통해 고의 근본원인인 모든 번뇌가 단멸된 마음의 상태가 열반이고 해탈이라고 한 것이다.

이와 같은 설일체유부의 아비달마사상에 대하여 후세에 일어난 대승불교는 일체법은 개공(皆空)이라고 주장하면서 법의 실유사상(實有思想)을 비판하고 사제(四諸)의 학습을 별로 중시하지 않는 한편으로 「본생담」에 기록된 부처님의 자비행의 모습(보살)을 모델로 하여 육바라밀의 수행을 강조하면서 설일체유부의 열반관을 공격했다. 자비행 없이 열반 없고 열반 없이 자비행 없다는 것이 기원전 1세기에 일어난 대승불교운동의 보살사상이었다.

대승불교운동에서는 수행자를 보살이라고 부르면서 일체중생을 구제하겠다는 자비심을 가져야 하는 것으로 교설했다. 이와같은 보살의 자비심을 상징하는 존재가 「법화경」등에 등장하는 관음 즉 관세음보살이다. 이 보살은 자비심을 가지고 다양하게 변신하면서 일체중생을 구제한 활동을 전개한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