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無)가 예불하고, 무가 밥먹고, 무가 청소하게 하라."
상태바
"무(無)가 예불하고, 무가 밥먹고, 무가 청소하게 하라."
  • 관리자
  • 승인 2009.04.16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수행의 현장/오곡도 명상수련원 동계집중수련회

타성(惰性)에 젖어 일상의 반복되는 삶을 살다보면 간혹 ‘이렇게 살아도 되는 걸까?’라는 회의가 밀려오곤 한다. 환골탈태(換骨奪胎)할 수 있는 전환점이 필요하다.

오후 3시 남해 통영의 땅끝 척포 오곡도로 들어가는 배 위에서 갈매기들을 보았다. 매서운 겨울 바람을 견디며 멀리 수평선 너머를 응시하는 모습은 흡사 생사를 초탈하기 위해 수도하는 수행자처럼 비쳐졌다.

번잡한 도시에서 아등바등 살아온 사람들에게 어느 섬인들 아름답지 않겠냐만은, 오곡도에는 두 분의 수행자가 있어 맑은 기운을 더해준다. 어느 날 갑자기 교수직과 얽힌 인연을 끊고, 오곡도의 폐교를 수행처로 개조해 수행에 전념하고 있는 장휘옥 오곡도 명상 수련원 원장, 김사업 지도법사가 그 주인공이다.

그들은 아는 것과 행하는 것이 하나가 되지 않으면 의미가 없다는 것을 절감하고, 세계 유명 수행처(일본 고오가쿠지, 미얀마 쉐우민센터, 프랑스 플럼 빌리지, 스위스 랍땐 최링 등)에서 최고 스승의 지도를 받으며 수행함으로써 각 수행의 핵심과 수행지도법을 온 몸으로 체득해 나갔다. 이후 직접 농사를 지으며 일상생활과 하나되는 수행을 하는 한편, 수행 체험을 회향하고자 수련회를 개최하고 있다.

오후 4시 30분, 대학생, 직장인, 교사, 가정주부, 자영업자 등 12(남6,여6)명의 수련생들이 모인 가운데 6박7일간의 ‘제 3차 오곡도 명상수련원 동계집중수련회’ 입재식이 열렸다. 이 날 저녁부터 좌선이 시작되었다. 본격적인 화두참선에 들어가기 전에 수식관(數息觀, 숨을 세면서 마음을 모으는 수행법)을 했다. 앉는 자세부터 익숙치 않으니 10분도 채 지나지 않아 통증이 오기 시작했고, 들 숨에 맞춰 숫자를 세는 데 집중하려는 강한(?)의지와는 달리 자꾸만 졸음이 쏟아져 숫자는 다섯을 넘기기가 어려워졌다. 밤 10시 취침.

다음 날 새벽 4시 30분 기상. 기체조로 하루일과 시작, 장애 없이 좌선에 몰두하기 위해 30분간 기체조를 실시해 몸의 긴장을 푼다. 오전, 다시 수식관에 이어 선(禪)과 화두(話頭)에 관한 강의.

선은 마음을 하나의 대상에 결부시켜 그 대상과 마음이 하나가 됨으로써, 마음의 혼란스러움을 가라 앉히고 지혜를 체득하는 수행법이다. 화두는 분별로써는 결코 해결 할 수 없는, 그래서 수행자의 전신을 의문 덩어리로 만드는 문제이다. 자나깨나 전력을 다하여 화두를 참구하다 보면, 불씨만 갖다대어도 불이 금방 확 타오르듯이 문득 깨달음이 찾아온다고 한다.

오후부터 드디어 ‘무(無)’자 화두가 주어졌다. ‘그 어렵다는 화두를 깨칠 수 있겠는가. 단지 끝날 때까지 바른 자세를 풀지 말고 이겨재 보자.’라는 소박한 결의를 하고 무를 참구하기 시작했다. 무는 좀처럼 잡히지 않고, 다리의 통증과 쏟아지는 졸음 사이에서 잡생각만이 활개를 치고 돌아다녔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