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 「님의 침묵」을 통해 본 만해 사상
상태바
[특집] 「님의 침묵」을 통해 본 만해 사상
  • 장호
  • 승인 2009.04.14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특집 ∙ 한용운 사상의 원천

□ 자비행(慈悲行)의 나룻배

불교사상의 특색을 한마디로 표현하라면 누구나 먼저 <자비>란 말을 생각해내게 마련이다. 자비란 말할 것도 없이 어진 마음으로 남에게 친절히 대함을 말한다. 그러나 그것은 겉으로의 말뜻밖에는 안된다. 역경에 처하여 불행에 우는 자에게 구체적으로 어떻게 친절히 대한다는 것일까. 가령 물질을 베푼다면 남에게 베풀만큼은 저에게 먼저 그것이 넉넉해야 한다는 전제조건이 필요하다. 그리고 동정심을 베푼대도 제 처지가 각박하면 그것도 어려운 노릇이다.

그러나 불교에서는 저는 헐벗더라도 제가 가진 것을 모두 가난한 자에게 내어 주라고 가르친다. 저는 괴로움의 심연에 빠질지라도 먼저 남의 괴로움부터 덜어주라고 가르친다. 그러자니 거기 자연, 스스로 잃어야 하고 또 스스로 몸을 내어던져야 하는 범상한 뜻으로는 쉽지 않은 용기가 필요하고, 또 그 일을 실천하는 행동에 더 큰 갈등이 따른다. Benevolent와 Mercy와 또 Charity가 그 뜻에 있어 조금씩은 차이가 지듯이 자비란 말은 그만큼 시여(施與)나 박애(博愛)라는 말보다는 좀 유다른 면모를 띈다. 그것은 오히려 저는 여태 제도되지 못했더라도 아니 제도되지 못했으니까 남부터 제도해야 한다(자미도극도타(自未度克度他))는 보살의 사상을 낳는다. 남부터 제도함으로써 저도 제도될 기연을 얻게 되기 때문이다. 적극적인 행동적 성격을 <자비>의 개념에서 떨어낼 수 없는 까닭은 바로 여기에 있다.

그것이 곧 불교 특유의 자비사상이다. 흔히 유복한 자가 넉넉한 웃음을 띄며 가난한 사람에게 무엇인가 베풀어주는 정경을 자비로서 머리에 그려내기 쉽지만 그래서는 불교를 잘못 이해하게 된다는 까닭도 여기에 그 뜻이 있는 것이다. 이런 진리의 길을 한용운은 쉽게 그려 보여준다.

   나는 나룻배. 당신은 행인. 당신은 흙발로 나를 짓밟습니다./ 나는 당신을 안고 물을 건너 갑니다./ 나는 당신을 안으면 깊으나 얕으나 급한 여울이나 건너갑니다./ 만일 당신이 아니 오시면 나는 바람을 쐬고 눈비를 맞으며 밤에서 낮까지 당신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당신은 물만 건너면 나를 돌아보지도 않고 가십시다 그려./ 그러나 당신이 언제든지 오실 줄만은 알아요./ 나는 당신을 기다리면서 날마다 날마다 낡아갑니다./ 나는 나룻배./ 당신은 행인.                                           (나룻배와 행인)

여기서 등장하는 <당신>은 말할 것도 없이 중생이다. 중생을 피안정토(彼岸淨土)세계로 제도하기 위해서는 <나룻배>는 <흙발로 짓밟>히는 괴로움도 감수해야 한다. 그러면서 저 자신은 강 기슭까지 바래다 줄 뿐 그 행인 따라 저도 상륙해 버리는 법이 없다.

<돌아보지도 않고> 가버리는 당신을 원망하지도 않는다. <바람을 쐬고 눈비를 맞으며 밤에서 낮까지> 다음에 제도해야 할 중생을 위해서 다시 괴로움의 사바세계로 되돌아 선다. 봉사자의 정신은 바로 이 같아야 한다고 말한다. <젓가락은 수 없이 맛있는 음식을 입에까지 날라다 주건마는 한번도 그 자신 음식을 맛보는 법이 없다.>는 법구경(法句經)의 정신도 바로 이런 정신이다.

그러나 다시 첫머리의 <나>와 <당신>을 마지막의 그것에 대비해 보라. 첫머리에서 여전히 그것은 대립의 관계에 있었으나 마지막에 와서 어느새 그것은 일체가 되어 있음을 깨닫는 것이니, 그것은 온전히 <나룻배>인 <나>의 수행으로 인하여 이루어졌음을 알 것이다. 수행자와 중생은 어느새 자타불이(自他不二)의 드높은 뜻으로 합일되어 해탈, 열반의 자유세계로 나란히 나아가고 있음을 볼 것이다.

여기에 중생을 나에게서 따돌리지 않는 오히려 나를 중생의 운명아래 예속시킴으로써 중생과 나를 함께 대아(大我)로 발전시켜주는 비리(非理)의 논리가 성립하는 것이다. 다시 이 한편의 시에 등장하는 <당신>을 눈여겨보라. 전번에 당신은 탐진치(貪嗔痴)에 연연한 중생이었지만 끝에 당신은 이미 그것을 깨끗이 해탈한 부처가 되어 있음을 깨달을 것이다. 그것은 물론 나룻배에 실려 이미 피안정토로 제도된 후의 중생의 모습임이 분명하지만 주로 여덟 번째 <당신>과 아홉 번째의 그것이 사태를 온전히 변화시켜 놓고 있기 때문인 것이다. 따라서 <날마다 낡아가>며 <언제든지 오실 줄 알>고 기다리는 <당신>은 그때 비로소 <부처>가 되고 그리고 초반의 중생으로서의 행인인 <당신>과 나룻배인 <나>도 함께 성불하게 되는 것이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