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와 국문학] 불교와 한국 고전소설
상태바
[불교와 국문학] 불교와 한국 고전소설
  • 김기동
  • 승인 2009.04.01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불교와 한국 고전소설

 우리 겨레는 삼국 시대에 불교를 받아 들여 비로소 종교 생활을 하기 시작했다.

  그리하여 불교는 문학을 비롯한 미술. 건축. 음악. 인쇄 등 모든 문화 발달에 큰 영향을 끼쳐, 온통 우리의 문화사는 불교 문화사라 하여도 지나친 말이 아닐 정도이다.

  정신 문화의 대표적 양식인 문학에 있어서는 신라에 들어와 우리 나라 최초의 정형시인 향가문학이 형성되자, 신라인들은 향가의 형식을 빌어 불교의 신앙 생활을 노래하여, 향가 문학은 곧 불교 문학이라 하여도 좋을 것이다.

  고려 왕조를 거쳐 조선 왕조에 들어와 산문문학의 대표적 양식인 소설 문학이 발생하자, 문인들은 소설의 양식을 빌어 불교의 교리나 사상을 주제 설정한 작품을 창작하였다.

  이제, 조선 시대에 나온 고전 소설 중에서 그러한 성격을 띠고 있는 작품을 찾아 보면, 먼저 불교의 경전에 나오는 불교 설화를 소설화한 작품으로는, 〈금우태자전(金牛太子傳)〉을 비롯한 〈안락국전(安樂國傳)〉.〈금강공주전(金剛公主傳)〉.〈적성의전(狄成義傳)〉 등이 있다.

  그리고 순연한 창작 소설로는 우리 나라 최초의 소설인 〈금오신화(金鰲新話)〉중의 〈만복사저포기(萬福寺樗浦記)〉와 〈남염부주지(南炎浮州志)〉를 비롯하여, 〈왕랑반혼전(王郞返魂傳〉〈최척전(崔陟傳)〉.〈구운몽(九雲夢)〉.〈당태종전(唐太宗傳〉.〈심청전(沈淸傳)〉.〈옹고집전(擁固執傳〉등이 있다.

  그러면 먼저 본전을 소설화한 작품부터 그 주제를 살펴 보면, 첫째 〈금우태자전〉은 〈과거태자인행경(過去太子因行經)〉을 소설화하였다. 〈과거태자인행경〉은 석가모니의 전생담의 하나로되, 우리는 이 작품을 통하여 불교의 인과사상을 알게 될 것이다. 그리고 관음보살이 금송아지로 하여금 말을 하도록 하여 주었고, 또 금송아지를 우전국으로 가서 공주와 결혼하도록 한 것을 보면, 불교의 관음사상도 찾아 볼 수 있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