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사찰, 에너지전환으로 거듭나야 한다
상태바
생태사찰, 에너지전환으로 거듭나야 한다
  • 관리자
  • 승인 2008.12.29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특별기고

수메르에 이어 우르, 라가시 등등의 도시국가들도 차례로 숲에서 태어나 숲을 파괴하고 이윽고는 붕괴되는 흥망성쇠를 되풀이했습니다. 아메리카의 마야문명도, 캄보디아의 앙코르와트 문명도 마찬가지로 숲의 파괴와 문명 붕괴 역사의 사례입니다. 라파누이 섬 사람들도 울창한 숲을 에너지로 거대한 모아이 석상문명을 일으켰지만 마지막 남은 나무를 베고는 석상을 무너뜨리고 말았습니다. 결국 그들은 좁은 섬 안에 갇혀 드디어는 전쟁과 아사(餓死)와 끔찍한 카니발리즘(식인풍습)으로 치닫고야만 황무지의 생지옥도를 스스로 만들고 말았던 것입니다.

지속불가능한 석유 중심의 자본주의 산업체제

오늘날 현대 자본주의 산업문명의 에너지는 석유입니다. 자동차, 비행기, 배를 비롯한 수송에너지와 의식주 모든 부분에 걸쳐 있는 석유화학 제품을 생각하면 단연 석유의 세상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그런데 그런 석유가 지금 고갈되어 가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인류는 대략 전체 석유매장량의 절반 정도를 태워버린 것으로 얘기되고 있습니다. 석유 생산이 정점에 도달하는 이른바 석유정점(Peak Oil) 시기를 놓고 치열한 논쟁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대체로 2010년에서 2020년 사이에 석유정점이 닥친다는 것이 정설입니다.

석유정점이 되면 석유 위에 세워진 산업문명 자체가 붕괴됩니다. 석유가 없는 세상을 한 번 생각해 보십시오. 칫솔도 치약도 휴대폰도 옷도 신발도 장판도 가전제품들도 모두 석유화학 제품이거나 일부 들어가 있습니다.

석유가 없다면 컬러텔레비전은 불가능하고 패션도 불가능하고 대중미술도 불가능합니다. 무엇보다 식량위기가 닥치게 됩니다. 우리가 먹는 한 끼의 식사에는 석유가 90% 들어 있습니다. 우리는 밥을 먹는 게 아니라 석유를 먹고 있습니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