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심병(狂心病)에서 비롯된 광우병과 광신병
상태바
광심병(狂心病)에서 비롯된 광우병과 광신병
  • 관리자
  • 승인 2008.12.29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특별기고

밀레니엄 세기말을 무사히 넘기나 싶었는데, 아직도 말세론은 수그러들 낌새조차 없이 치성한 가운데, 올 들어 유난히 광풍(狂風)의 회오리가 거세다. 미친 소 파동이 그렇고 독선적 맹신주의자의 미친 말 파동이 그렇다. 믿음이 자신의 내면 안에서 자리할 때는, 미치든 달치든 어느 누구도 거리낄 바 없는 절대 양심의 자유다. 영혼의 믿음 속에서 자기 믿음만이 최고 유일의 절대라고 믿는 건 신앙의 본질속성상 지극히 자연스럽고 당연하다. 그러나 그 믿음이 바깥으로 타자를 향해 드러날 때는, 인간 사회성의 본질상 제약(制約)을 받지 않을 수 없다. 개인 절대자유의 공존(共存, 共尊)을 위해 평등의 원리가 들어서는 까닭이다. 그래서 황금률과 이른바 똘레랑스라는 관용이 동서고금 모든 윤리도덕 및 법규범의 최대공약수로 공통 기본원리가 된다. 그걸 사회의 약속(約束)이라고 한다.

종교신앙 조직도 다른 사회와 마찬가지로 자체 논리의 강화를 통해 존립의 독자성을 확보해 가려는 속성을 띠기 마련이다. 그런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특정 교리가 두드러지게 고양(高揚)하여 항진(亢進)할 수 있고, 구성원의 신앙심과 결속력을 높이기 위해 지나치게 극단으로 치달을 위험성이 적지 않다. 이 점에서 정치이데올로기와 흡사한 성격을 지니며, 그 광란의 폐단은 인류역사가 참담하게 증명하고 있다.

최근 우리사회에서도 일부 특정종교인들의 ‘종교에 관한 언동’은 종교의 본질을 크게 벗어나 사회의 평화공존을 위협할 만한 위험수준을 넘어서고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어느 종교를 믿는 나라는 다 잘살고, 어느 종교를 믿는 나라는 모두 못산다는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를, 21세기 첨단과학시대 광명천지에 신앙이라는 미명으로 뻔뻔스럽게도 버젓이 지껄인다.

잘 살고 못 살고의 기준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