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수(龍樹)의 운동 부정론
상태바
용수(龍樹)의 운동 부정론
  • 관리자
  • 승인 2008.06.05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중론 관거래품(觀去來品)을 중심으로-

- 목 차 -

1. 중론(中論)의 취지

2. 거래(去來)의 의미

3. 반야경에서의 불래불거(不來不去)

4. 팔불게(八不偈)에서의 불래불거

5. 관거래품의 논리

   ①무상성(無常性)과 지각(知覺)

   ②모습과 실재

   ③주체와 작용의 불일불리(不一不異)

1. 중론의 취지

관거래품의 사상을 논의하기 전에 먼저 중론의 저술 동기와 그 취지를 살펴보기로 하자. 부처님께서 열반에 드신 후 500여년이 흐르면서 불교는 그 교리 해석의 차이로 말미암아 2부 18종으로 나뉘어져 방대한 아비달마(論部)교학의 난립상을 보이게 된다. 부처님 생존시에 행하신 교설은 철저한 대기설법(對機說法)으로 일관되어 있었다. 즉 응병여약(應病與藥)의 형태로 병에 따라 약을 주듯이 때에 따라 곳에 따라 상대방의 됨됨이에 맞추어 다양한 설법을 베푸셨던 것이다. 어떤 때는 자아가 있다(自我)고 하시고 어떤 때는 자아가 없다(無我)고 하시며, 때로는 영원하다(常)고 하시고, 때로는 삼업(三業)을 부지런히 행하여 모든 선법(善法)을 포섭하라고 하시고, 때로는 모든 법이 그 짓는 모습이 없다고 하셨다.

부처님은 어떤 도그마를 세우기 위해 설법을 행하신 것이 아니라 목전의 중생을 해탈케 하는데 목적을 두셨기에 상대방의 속박된 양상에 맞추어 이렇게 다양한 교설을 베푸셨던 것이다.

그러나 부처님의 열반 후 세월이 흐름에 따라 그런 부처님의 의도는 점차 망각하게 되고 부처님이 설하신 문자의 해석에만 경도하는 풍조가 만연하게 됐던 것이다. 예를 들어 5온, 12처, 18계설은 모두 무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범주들이었다. 그러나 세월이 흐름에 따라 무아를 설명한다는 부처님의 의도는 소홀히 하게 되고, 5온 등의 각 구성요소의 정체가 무엇인지 탐구하는 데에 더 치중하게 되었다. 즉 불의(佛意)는 망각하고 문자만이 범람하는 주객전도의 상황이 야기되었다. 이에 용수보살이 분연히 일어나 불의(佛意)의 재현이라는 일대현실을 일으키게 된 것이다.

중론(中論)은 용수보살의 가장 대표적인 저작으로 불교 내적으로는 사성제, 사연설(四緣說)을 위시하여 윤회와 열반 등 초기 불교의 여러 개념을 부정하고 있는데 자칫 그 취지를 오해하여 그 모든 것이 없음을 주장하는 것이 중론의 내용이라고 이해하게 되면 악취공(惡取空)에 떨어지고 만다. 이를 우려하여 대지도론에서 용수는 사연(四緣)을 예로 들어 자신의 진정한 의도를 설명한다. 즉 보살은 사연(四緣)으로부터 모든 법이 생하는 것을 관찰하지만 사연 자체가 실제 있다고 보지 않는다. 그렇지만 그것은 단지 잘못된 견해를 제거하는 것이지 사연을 파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따라서 중론을 이해하고자 할 때도 용수가 아비달마적 불교에 대해 우려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용수의 의도는 도외시 하고 그 문자에 집착하는 우를 범해서는 안될 것이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