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대문 언저리 비구니 도량
상태바
사대문 언저리 비구니 도량
  • 관리자
  • 승인 2008.06.01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선어유희[禪語游戱]4

얼마 전에 불타버린 남대문을 중심으로 한 도성 안은 불과 100년 전만 하더라도 아무나 살 수 있는 곳이 아니었다.

지금도 종각 근처에 신축한 오피스텔과 빌딩의 광고문은 ‘왕가의 명당’이란 문구가 절대로 빠지는 법이 없다. 하지만 정작 본래부터 살고 있던 사람들은 그 사실조차도 잊고 살아가기 마련이다.

중국 속담에 “함원전 앞에서 장안이 어디냐고 묻는다”고 했다. 남대문 앞에서 서울이 어디냐고 묻는 것과 같은 이치라고 하겠다. 진짜 서울 토박이는 서울을 잘 모른다. 알아야 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서울을 가 본 적이 없는 사람이 도리어 이긴다는 우스갯소리가 나왔을 것이다. 하긴 지방사람이 서울지리에 더 밝을 수밖에 없으니 그것도 틀린 말은 아니다.

함원전은 당나라의 황궁인 장안성 대명궁에 있던 전각이었다. 우리나라의 경복궁에도 같은 이름의 건물이 경회루와 교태전 사이에 있었다. 조선 세조 12년에 지금 탑골공원 자리에 있던 원각사에서 백옥불상을 조성하였는데 함원전으로 맞아들여 점안법회을 했다는 기록이 조선왕조실록에 전한다. 그러고보면 함원전은 내불당 역할을 겸했던 것 같으니, 불교와 관계 깊은 궁궐 내 전각인 셈이다. 『벽암록』 50칙의 “함원전 앞에서 장안이 어디냐고 묻는다”는 말에서 보듯 다른 건물도 많았을 텐데 굳이 함원전을 인용한 것은 결과적으로 조선 땅에서는 우연이 아닌 것이 되어버렸다. 선재선재라. 옳고도 옳도다.

얼마 전에 사대문 바깥 언저리의 비구니 도량 네 곳 [문헌에서는 이를 묶어서 ‘사니사四尼寺’라고 기록했다]을 둘러보게 되었다. 서울 한복판에 이런 역사적인 고찰들이, 그것도 왕실의 안주인과 후궁 내지는 상궁들과 인연이 깊은 절들이 고스란히 남아 있다는 것은 그 자체가 경이로움이었다. 서울에서 오래 산 불자라고 할지라도 이 절들을 모두 참배한 사람은 그렇게 많지 않을 것 같다. 어쩌면 멀리 있는 4대 적멸보궁이나 3대 관음성지가 훨씬 더 가깝다고 느끼고 있지는 않을까? 사니사는 옥수동의 ‘두무개 승방(현 미타사)’, 석관동의 ‘돌곶이 승방(현 청량사)’, 숭인동의 ‘새절 승방(현 청룡사)’, 보문동의 ‘탑골 승방(현 보문사와 미타사)’이 그것이다. 현재의 청량리 청량사 안내현판에는 청량사뿐만 아니라 나머지 세 곳까지 함께 열거하는 넓은 아량을 보여주고 있었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