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와 문학] 서정주의 시 세계
상태바
[불교와 문학] 서정주의 시 세계
  • 김해성
  • 승인 2008.04.10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불교와 국문학[6]

  「연각(緣覺)」은「각독(覺獨)」과 동일한 의미를 갖고 있다. 각독은 타의행심(他意行心)에 의타치 않고 독력으로 오각오득(悟覺悟得)하므로「각독」이라 한다.

   독력(獨力)의 세계는 곧 시(詩)의 세계와 동일성을 가졌다.

   그러므로 시와 독각―시와 독력은 어떤 대상이 없고 자력으로써 외연(外緣)을 보며 도리[道理: 내연(內緣)]를 깨달음으로 연각하는 순간―시와 대화한다.

   시와 독각은 위상(位相)을 같이 하며, 위좌(位座)를 같이 하고, 승중합화(僧衆合和)와 수행증득(修行證得)과 무사독오(無師獨悟)가 꼭 같은 도정에 선다. 시인의 독오와 영감작용은 이러한 외연과 내연의 수신수심(修身修心)없이는 불가능하다.

   진선미(眞善美)의 종합체와 시적 감응이란 언어와의 거리감을 절연(絶緣)하며 시작에서 종위(終位)까지 단독으로 수행을 하는 범주가 일상(一相)을 가린다. 곧 시의 대상은 묘리(妙理)의 근원에서 시시로 발하고 있으며 이 발아(發芽)는 시의 발심(發心)과도 같은 상각(相覺)이다.

  

     내 마음속 우리님의 고운 눈썹을

     즈믄 밤의 꿈으로 맑게 씻어서

     하늘에다 옮기어 심어 놨더니

     동지섣달 나르는 매서운 새가

     그걸 알고 시늉하며 비끼어가네.

     <동천(冬天)>전편

   <동천(冬天)> 작품은 아주 편상적(片想的)인 시상을 영원과 순간의 찰나에 조화―상화(相化)한 작품이다. 편상적인 시상의 작품은 비교적 단상적(短想的)인 자아(自我) 군소리 아니면, 철학적인 신묘(神妙)스런 언어의 나열에 빠지기 쉽다. 특히 현대시의 창작과정에서는 이러한 작품구성의 언어군이 많음은 한국시는 물론 세계적인 시단에서도 왕왕 있는 작역(作域)의 예임을 볼 수 있다.

   인간의 일체미에서 얻는 현색계(顯色界)와 형색계(形色界)와 묘촉계(妙觸界)와 공봉계(供奉界)는 곧 자연과의 조화―화목심(花木心)과의 조화―시공(時空)과의 조화가 있어야만 교묘한 시심의 개안(開眼)을 얻을 수가 있다.

   정주(廷柱) 시인의「시관」은 한 마디로 오정심관(五停心觀)과 사색계(四色界)를 완전히 퇴치한 세계라고 할 수 있다.

   정주 시인의 시세계를 흔히 비평가들은 한 마디로「신라정신」또는「연화구경세계(蓮花究境世界)」―또는「불심세계(佛心世界)」등으로 말하고 있다.

   그러나 정주 시인의 시작품의 언어 속에서 불교적인 용어는 찾아 볼 수가 없을 만큼 현대어의 결집이다.

   <동천(冬天)>의 세계를 살펴보면, 순수한 동양적인 천(天)이며 한국적 무(無)요「선(仙)」의 세계다. 자기수행의 진실에서 얻은 시적 체험의 발로라고 볼 것이다.

     내 마음 속 우리님의 고운 눈썹을

  「내 마음 속」은 곧 정관(靜觀)하는 세계의 어느 한 점에도 의지하는 일 없이 오직 자아독력(自我獨力)의 수행에 있다면 자아는 분명 개안된 생명의 진수가 파악되어 가고 있는 자아관을 말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불심의 어느 경지에 가면, 있는 것도 없고 없는 것도 있고 죽은 것도 산 것이며 산 것도 죽은 것이 될 수 있다.

  「우리님의 고운 눈썹을」은 내가 아닌 타아―곧 중생―아니면 부처님을 지칭하는 의미인「우리님」과「고운 눈썹」은, 정관하는 묘리 속에서 순간의 달각(達覺)의 표상으로 표출된 표현이라고도 볼 수 있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