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른목소리] 지금 여기서 우리가 할 일
상태바
[푸른목소리] 지금 여기서 우리가 할 일
  • 석지오
  • 승인 2008.02.04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불교의 한국적 상황을 애기할 때 우리는 어쩔 수 없는 열등의식과 모멸감에 사로잡힌다. 천육백년의 전통과 역사가 맺어온 결과가 겨우 이 정도 밖에 되지 못하는가 하는 회의는 불교가 한국민족에게 끼친 문화적 정신적 영향이 지대하다는 중론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우리를 견딜 수 없는 자학으로 유도하기에 충분하다. 종교의 사회적 기능은 그 시대의 정신적 지주로서 사회윤리의 발양(發楊)과 인간정신 계도에 있다고 한다면 오늘날의 한국불교는 그 책임과 역할을 다하기에는 너무나 무기력하고 안일하다는 비난을 면할 수 없다. 오히려 자체내의 타락과 분열로 사회 일반으로부터 조소와 빈축을 사고 있는 설정에서 중생제도니 사회구원이니 한다는 것은 말 자체가 황당한 희론(戱論)에 불과한 것이다. 그러면서도 전통을 들먹이고 찬란한 문화유산 어쩌구 하는 것은 진실로 부끄러움을 모르는 후안무치배의 소언이라고 한다면지나친 표현일까?

그런데도 아직 우리들에게는 이와 같은 자각적 반성이 부족한 것 같다. 어찌된 노릇인지 우리들은 모여 앉으면 불교의 현실을 꼭 남의 일처럼 얘기한다. 이것이 잘못되었어. 「이렇게 가다가는 끝내는 불교라는 흔적도 없어 질거야.」 하고 서로들 탄식만 하고 있을 뿐 누구 하나 일어서서 「이렇게 해야 한다.」고 앞장서는 사람은 없다. 그들의 언동은 한결 같이 남의 잘못이지 나의 잘못은 아니다. 따라서 책임은 언제나 다른 사람이 질 일이지 자기가 져서는 안 된다는 태도이다. 마치 강을 건너간 돼지가 언제까지나 자기를 빼고 세는 것처럼 책임문제에는 언제나 자기가 빠진다. 참으로 묘한 처세꾼 들이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