龍城선사와 3.1 정신
상태바
龍城선사와 3.1 정신
  • 관리자
  • 승인 2008.01.27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용성선사의 불법

불법은 원래로 법 그대로 영원한 것이다. 다시 이루어질 것이 없고, 변하는 것도 멸하는 것도 없다. 그래서 원래로 모자랄 것도 남을 것도 없는, 원만구족한 채 영원히 자존(自存)하고 숨김없이 전체가 드러나 있는 것이다. 그러기에 이법은 오직 깨달음에 있는 것이요, 다시 말이나 이론이 붙을 여지가 없다. 그러기에 부처님은 보리수하에서 먼저 깨달음을 보이시고 다음에 중생을 위하여 자비방편의 8만4천 언설을 벌리시지 아니하였던가. 이것으로 보면 우리들의 불법수행도 믿음 - 깨달음 - 자비행이 그 방식이 된다.

그런데 우리 주변에는 이 뜻은 사뭇 달리 표현되고 있다. 이해 - 깨달음의 방식이다. 표현의 차이라고 이해는 되는 것이지만 그것이 사교입선(捨敎入禪)이 말하듯이 먼저 교를 배우고 그 다음에 교에서 뛰어나와 실천적 선수행을 한다는 수행에서는 교학적 이해가 있고 또한 선의 실천적 수행이 따로 있는 것이다. 이래서 교학자가 있고 또한 선자가 있게 되고 한편 율사도 있게 된다. 불법수행하는 자에게 그 모두는 본래로 갖추어야 하는 것인데 나누어지는 것만큼 온전한 것을 잃고 말았다. 이래서 오늘도 왕학자 왕선자 등 나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여기 용성선사는 불자 행도의 길의 전형적 형태를 보여준다. 먼저 선으로 마음을 밝혀 도를 깨쳤고 다음에 비구계와 보살계를 받았고 그 다음에 전등(傳燈) 염송등 선적(禪籍)을 열람하고 그다음에 법화(法華) 기신(起信) 화엄(華嚴) 치문(緇門)등 여러 경전을 수학하엿던 것이다. 이와같이 용성선사는 명심견성한 다음에 경전과 어록을 열람하고 평생을 본분일착자(本分一着子)로 후래를 제접(提接)하고 대중을 교화하였던 것이다.

어찌 오늘날 교학에 매어달려 수행도 믿음도 계율도 오불관언하는 일단의 학구배(學句輩)의 경책이 되고 거울이 되지 아니할까.

용성선사의 오도행법은 한국불교를 이미 쓰러진 데서 다시 일으킨 느낌이 잇으며, 불자가 수행하고 불법과 조국과 세계에 이바지할 방법을 우리에게 분명하게 보여주었다. 용성선사는 오도 후 기연따라 제방을 두루 다니며 종승(宗乘)을 크게 선양하여 많은 선납을 배출하였고 다시 포교.전법. 역경에 힘을 기울여 일찍이 다시 없는 큰 발자취를 남겼다.

오늘날 우리 한국불교가 일체불법을 원융하게 희통하여 불심을 정점으로 하여 현밀(顯密) 선정을 걸림없이 전개하며, 청정한 계율을 숭상하여 교단의 규모가 번듯하게 세워진 데는 용성선사의 철저한 안목과 실천으로 보인 유덕이 절대적이라 말하지 않을 수 없다.

법을 행하는 불자가 조국과 겨레에 어떻게 책임을 다할 것인가는 나라를 잃은 후 항일운동과 3.1운동의 전개와 다시 허다한 전법, 교화활동에서 볼 수 있다. 우리나라의 역경운동은 세종대왕조에 연원하지만 근세 역경.포교운동의 비조는 용성선사다.용성선사는 전법과 호법이 청정불자의 진실한 행도의 길임을 확신하고 1912년 선종포교당을 서울에 설치하고 포교에 힘써왔다.

특히 3.1운동 후 옥고를 치루고 출옥한 1921년 3월부터는 본격적으로 역경과 포교서적출판에 전력을 기울여서1927년 11월까지의 출판목록은 다음과 같으니 당시의 사정으로 어찌 놀라움에만 그치랴.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