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의 근본사상] 9.반야사상의 철학적 개념
상태바
[불교의 근본사상] 9.반야사상의 철학적 개념
  • 박중관
  • 승인 2008.01.26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9회>

   ①  부처님이 설한 진리의 의미중심을 우리는 한마디로 「연기」하는 말로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아함의 전승에 있어서는 「연기」라는 말은 주로 인생고뇌가 생기하는 원인을 밝히는 계열로서 등장한다.  즉 무엇으로 「말미암아」노병사가 있는가, 삶이 있는 까닭이다. 무엇 「때문에」생이 있는가.... 하고 추구해가서 인생고뇌의 근거가 식이라든가 갈애라든가 무명이라든가 하는 것에 있다는 사실을 밝혀내는 일이다.  이러한 계열을 따르는 방법에는 몇 가지의 종류가 있어 9지 10지 등과 같은 지연기설이 있지만, 12개를 가지고 정리된 것이 옛부터 잘 알려진 「12인연설」이다.  그러나 「연기」라고 하는 말의 깊은 뜻은 추구의 과정인 순서에 있는 것이 아니고 「모든 것의 존재는 다른 존재에 의존하는 일에 의해서 성립한다」고 하는 것에 있다. 

「이것이 있는 까닭에 저것이 있고, 이것이 생김으로 말미암아 저것이 생긴다.  이것이 없으면 저것이 없고, 이것이 멸하는 까닭에 저것이 멸한다.」고 하는 유명한 정형구가 「연기」의 참뜻을 잘 나타내고 있다.  아함의 사상에서는 이와같은 「연기」의 일반적 성격을 추상하는 일은 크게 중요시 되어지지 않았던 것이지만, 이 「연기」야말로 부처님 소설중의 제일의라는 것을 밝히려고 한 것이 바로 「반야」의 사상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어떤 것의 존재가 타에 의존하고 있다는 것, 말하자면 이 세상의 모든 것이 상대적 존재에 지나지 않다고 하는 것 뿐이라면 구태어 「연기」라고 하는 말을 번거롭게 끄집어 낼 필요가 없다.  오늘의 과학적 세계관을 가진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 개의 물체가 여러가지의 분자에 의해 구성되어져 있다는 사실 정도는 다 알고 있으며, 조금이라도 감수성이 있는 사람이라면 자기의 존재가 사회나 부모나 스승이나 친지들의 은혜를 입으며 살고 있다는 정도는 다 느낄 수 있다. 

반야사상이 밝히려고 애쓴「연기」 란 그런 단순한 사상이 아님을 먼저 우리는 명심하고 넘어갈 필요가 있다.  반야사상 해석의 비조라고도 할 수 있는 용수는 우선 「중론」제일장에 있어서 사물은 무엇에서 생기는 것일까 하는 생기론을 제기한 바 있다.  예로 지금 나의 책상 위에 있는 찻잔은 무엇에서 생긴 것일까?  그것은 흙에서 생긴 것이다.  그럼 그 흙은 무엇에서....하고 물어갈 것 같으면 생기론은 마침내 존재의 근거를 찾아내게 된다.  기독교에서는 만물은 하나님의 창조에 의한 것이라고 말한다.  또 세상에는 우주는 우연에 의해 생겨진 것이라고 믿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