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 선의 사상 : 선禪과 태권도
상태바
[특집] 선의 사상 : 선禪과 태권도
  • 관리자
  • 승인 2008.01.14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禪의 思想

  오늘날에 와서 禪은 너무나 보편화되어 가고 있다. 다시 말하면 어느 전문가나 집단이 행하는 전유물(?)이 아니라 사회의 구석구석 또는 문화창조의 여러 현장에서 실제로 응용되고 활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시(詩), 화(畵), 서(書), 질병치료, 각종의 운동경기에서 활용하고 있으며, 일반 시민들의 생활 속에서도 실제로 응용하고 있다.

  禪의 이러한 현상은 한편으로는 생활화라는 면에서 볼 때 너무나도 당연하고 바람직한 일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으나, 한편으로 생각할 때는 禪의 속화(俗化)로서 禪 본래의 취의를 저바려 자칫 오도될 염려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禪은 본래 고대 인도의 Yoga로부터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Yoga란 인간의 육체와 정신의 갈등 문제를 종교적인 차원에서 해결 하려는 한 수행방법이었다.

  즉, 인간이 갈구하는 이상세계(예: 覺)를 육체가 가지고 있는 제한조건(예:八苦)으로부터의 해탈을 위한 수행방법으로서 정신통일을 위한 방법을 말한다.

  이러한 수행법이 부처님의 출생과 六년간의 고행수도를 거쳐 禪(팔리어 : jhа|na, 범어 : dhyana)으로 발전하였다.

  즉  Yoga는 정신통일에만 목적이 있었지만, 禪은 그러한 정신통일을 거쳐, 오도(悟道)하려는 높은 차원의 목적이 있었다. 따라서 부처님의 覺을 통하여 선정법(禪定法)이 완성되었고, 그 수행법은 불교의 최고 목표인 대각(大覺)을 위한 기본법으로 되었다.

  이러한 선정법은 달마대사가 중국에 와서 면벽구년(面壁九年)이라고 하는 시범을 거쳐 선정법 또는 선사상의 일대변혁의 가져 왔다.

 다시 말하면 달마대사가 중국에 왔을 당시(AD,五二O년 또는 五二七년 양무제시) 중국의 불교는 불경의 번역, 절을 짓는 것, 불상을 조성하는 것, 복을 비는 것 등 관념적, 기복적 또는 문자에 얽매여 있는 불교관에 대하여, 각(覺), 해탈(解脫)을 위한 수행방법을 제시하고 실천함으로써, 중국 불교의 일대 혁명을 완성한 것이다.

 즉 「不立文字 見性成佛」의 실천 수행법을 제자들에게 가르쳤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