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불교미술 ] 6.부석사와 무량수전
상태바
[한국의 불교미술 ] 6.부석사와 무량수전
  • 황수영
  • 승인 2008.01.05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의 불교미술
무량수전(無量壽殿) 국보 제 18호부석사의 본당(本堂) · 동양최고(最古)의 목조건물(木造建物)

하나의 고대사찰이 창건이후 일천 수백년을 지나면서 법등(法燈)을 지켜 왔다는 사실은 비단 그사찰뿐 아니라 나라의 경사요 국민의 다복이라고 말할 수 있다. 하물며 이 사원이 오늘 옛 규모를 갖추지 못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국내 으뜸의 문화유산을 전래하고 있다는 사실에서 한층 그러하다.

 태백산 부석사는 신라 문무대왕(文武大王) 16년 서기 676년에 창건되었으니 금년이야말로 만 1300년을 맞은 가장 뜻깊은 해라고 할 수 있다. 삼국사기 권7, 문무대왕 16년 춘 2월조에는 고승의상봉지창부석사(高僧意相義旨創浮石寺)라 보이고 있다. 그리하여 이사찰의 창건을 위하여서는 삼국통일의 영주(英主)이신 문무대왕과 신라의 가장 이름높던 의상법사 두분이 깊이 관련된 사실을 알 수가 있다. 이 두분은 생전에 매우 가까운 인연을 맺어서 한반도 통일에 크게 이바지 하였을뿐 아니라 국민의 교화를 위하여 또한 협력하였던 사실을 알 수 있다. 태백산 부석사를 창건하려할 때 대왕은 누구보다도 먼저 의상법사로 하여금 이곳 국찰(國刹)에 주석케 하였던 것이다.

 이같은 인적관계뿐 아니라 부석사는 나라의 중요한 땅을 골라서 건립된 사실을 잊어서는 아니될것이다. 태백산은 신라 오악(五岳)의 하나인 북악(北岳)으로 나라의 제사를 받아왔다. 그리고 부석사가 자리잡은 영주(英主)의 땅이 또한 국방과 교통에서 매우 중요하므로 신라통일 직후에 부석사같은 호국대찰이 이곳에 이룩된 것이다.

 끝으로 이부석사는 신라 화엄종(華嚴宗)의 종찰(宗刹)로서의 큰 뜻을 지니고 있다. 그리하여 이 부석사를 으뜸으로 삼고 이른바 전교 十찰(삼국유사 권4, 의상전교조)이 전국에서 전래한 사실은 또한 주목할 만하다. 또 고려에 이르러 원융(圓融), 충명(沖明) 두 국사를 비롯하여 고승대덕이 이곳에 주석한 사적에서 창건이래의 높은 사격(寺格)을 짐작할 수가 있다. 그러나 그 후 사찰은 점차로 쇠퇴하였으며, 임란(壬亂)의 재화를 모면하면서 마침내 오늘에 이른 것은 참으로 기적에 가까운 일이었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