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맹정진과 승해(勝解)
상태바
용맹정진과 승해(勝解)
  • 관리자
  • 승인 2007.10.07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초대설법/아짠 마하 부와의 수행법문 - 두 번째 법회4

이 글은 태국을 대표하는 위빠사나 대선사, 아짠 마하 부와가 영국을 초청방문하여(1974년 6월) 설한 법문과 질의 응답들을 수록한 수행법문집, 『The Dhamma Teaching of Acariya Maha Boowa in London』 중, 두 번째 법회의 법문과 질의 응답입니다.

문: 어제, 빤냐밧다 장로스님께서는 명상수행 시에는 에너지를 활용해야 한다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리고 오늘, 아짠께서는 뇌(brain)로 행하는 수념(隨念: 거듭 상기해 숙고하는 것-역자)에 대해 설하셨습니다. 그렇다면 마음이란 에너지와 뇌를 의미하는 것인지요?

답: 불법을 배워 수행할 때, 대념(大念, maha-sati), 대혜(大慧, maha-panna)의 경지에 도달하기 전까지는 마음챙김과 지혜의 활용을 점진적으로 증진시켜 나아가야 합니다.

사람들은 마음의 평화(최상의 가치를 지닌)를 얻기 위해 명상수행을 합니다. 그리하면 깊이 잠들었다 깨어나도 마음은 여전히 명징합니다. 그러나 늘 숙면을 취하지는 못하므로 꿈을 꾸게 되어 자면서도 여전히 말하게 됩니다. 그래서 깨어나면 찌뿌드드하고 졸린 느낌이 드는 것이지요.

숙면 중에는 마음이 ‘바왕가(bhavanga)’* 상태에 빠져들게 됩니다-바왕가는 꿈이 일지 않는 깊은 잠의 자리(place)로, 바왕가에서 깨어나면 오온(五蘊)의 충분한 휴식으로 활기가 충만해져 마음이 신선해집니다.

선정(禪定)에 들면 마음이 완벽하게 고요해집니다. 따라서 마음이 저절로 행복하고 강인해지므로, 알고 생각하고 행할 때 명징하고 여유로워진 마음 덕분에 평소보다 훨씬 명료하게 사물을 간파할 수 있게 됩니다. 이처럼 불교의 원칙들에 부합하는 선정이나 지혜를 통한 마음수련은 자신의 일상생활에도 도움을 주는 이로운 방편인 것입니다.

따라서 수행의 성과를 얻기 위해서는 인내심으로 무장하여 용맹정진과 승해(勝解, determination: 대상이 어떤 것인지를 집중해서 확인하고 이해하는, 동요하지 않는 확고한 마음작용─역자)를 활용해야 합니다. 이때 유념할 것은, 상황에 맞춰서 이들을 활용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즉, 만일 선정에 들기를 원한다면 일점(一點)에 집중하는 승해를 활용해 마음의 산만함을 가라앉혀야 합니다. 혹은 ‘진정한 법(sacca-Dhamma)’을 알기 위해 수관(隨觀)하려면, 용맹정진과 관찰을 통한 승해를 활용해야 하며, 법(Dhamma)에 대한 다양한 관점에서의 이해를 계발해야 합니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