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은 굴신(屈身)이 아니라 굴심(屈心)이다
상태바
절은 굴신(屈身)이 아니라 굴심(屈心)이다
  • 관리자
  • 승인 2007.10.06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불광 30주년 연속기획 특집 /1인 1 수행법 갖기 | 절

나는 어렸을 때 불교를 접했다. 하지만 그 때는 어머님이 우리집 뒷산에 있는 절을 가실 때 어머님과 떨어지지 않기 위해 열심히 따라간 것 이외의 큰 감동은 없었다. 어머님이 부처님을 향해 절하면 그냥 옆에 앉아 있기도 서 있기도 민망하여 그저 엎드렸다 일어났다 한 추억뿐이다.

그러나 고등학교 때 서울로 올라온 나는 부모님이 보고 싶고, 또 사춘기의 말 없는 외로움, 고독 이러한 느낌들이 소설을 좋아하게 되었고, 소설을 읽으면서 되지도 않는 문학소년으로 시를 습작한다고 명동의 시인들이 모이는 다방을 기웃거리기도 하고, 빵모자 쓰고 고즈넉히 평화스럽게 앉아 계시는 시인들의 여유와 안온함을 선망하기도 하였다.

그러다 보니 자연히 철학책을 읽게 되었고 1950년대 유행하던 ‘샤르트르’, ‘까뮈’의 작품을 읽게 되고, 그들의 작품기저인 실존철학서적들을 열심히 보았다. 지금 생각하면 참 한심한 사람이기도 하다.

책 몇 권 읽고 신문에 실린 소개 내용을 가지고 고등학교 친구들에게 열변을 토하면서 일장연설을 하고, 학과공부인 영어, 수학은 하지 않고 이런 것만 좋아했으니 어떻게 고등학교를 졸업했는지 알 수 없다. 그 때는 모두가 지지리이도 공부를 하지 않았던 모양이다.

소설 쓰고 시 쓰고 심지어 시나리오 현상모집에 응모한다고 야단법석한 내가 고등학교를 졸업했다. 이것도 아마 이미 부처님이 너는 불교를 하라고 미리 예약했는지도 모른다. 지금 생각하면 다행스러운 일이다.

여하간 나는 고심고심 끝에 철학을 공부하려면 좀더 특성있는 철학을 해야 하겠다고 각 대학의 입학 요강을 살펴보았다. 동국대학교는 철학과가 불교대학에 있었다. 다른 대학은 문리과 대학에 철학과가 있었는데 유독 동국대학만이 불교대학에 불교학과와 철학과가 있었기에 두말할 것 없이 여기에 가면 불교철학을 할 수 있겠다고 믿고 응모하여 합격의 영광을 누렸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