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심(回心)
상태바
회심(回心)
  • 관리자
  • 승인 2007.09.28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주제별로 가려뽑은 경전 말씀


회심은 불교사상과 수행의 대전제이다. 때문에 경율론과 선어록에서는 모두 인간의 미망을 일깨우는 회심의 언어와 교학적 장치를 기본구조로 설하고 있다. 바로 “결정적인 마음의 돌이킴으로써 궁극의 깨달음을 구한다(決定回心 求無上覺)”라는 한 논서의 구절처럼 회심은 불교정신의 깊은 숨결을 대표한다.
회심곡의 유장한 가락은 많은 한국인들의 푸르른 정한(情恨)을 담고 있는 노래이기도 하지만 그토록 많은 불교경전에서 설하는 회심의 교리가 대중화된 노래이기도 하다. 회심곡의 화두 역시 단 두 글자 ‘회심’이다. 우리가 이 세상을 살면서 부렸던 그 많은 변덕과 욕심도 덧없는 미망이라는 것을 깨닫고 부처님의 가르침대로 살아가겠다는 회심의 의지를 도도하게 흐르는 삶의 희로애락 속에서 건져올리는 노래가 바로 회심곡인 것이다.
또 한 해가 바뀌어도 이 시점에서도 깊은 숙업의 올가미에 감겨있는 우리는 아무 것도 새롭게 시작하지 못하고 있다. 야만의 세기라고 불리우는 지난 세기처럼 여전히 자신과 타인을 끝없는 망견(妄見)으로 오염시키고 허구와 기만으로 가득 찬 인간관계, 그리고 광란적인 소비의 폐수 속에서 새로운 한 해, 21세기를 시작하고 있는 것이다. 지금 시작되는 새로운 세기를 다시 야만의 세기로 만들어가지 않기 위해서는 일시적인 회개나 반성이 아니라 마음의 힘을 새로 깨닫고 시작하는 회심이 필요하다. 회심의 실천이야말로 마음의 힘이 약하여 강한 경계에 이끌려 업장의 무게를 더해가는 현대인들이 불교적인 자기회복에 이르는 길이다.
--------------------------------------------------------------------------------
지지(持地)보살이 자리에서 일어나 부처님께 정례하고 사뢰었다.
“제가 생각하오니 지난 옛 적에 보광여래께서 세상에 출현하셨을 때 저는 비구가 되어 사람과 수레의 통행을 막는 험한 길과 여법하지 못한 나루를 평탄하게 메우고 다리를 놓기도 하며 흙을 지기도 하여 한량없는 부처님이 세간에 출현하시도록 부지런히 일했습니다. … 그 때 비사부 부처님께서 저의 정수리를 만지면서 말씀하시기를, ‘심지(心地)를 평탄하게 하면 온 세상의 땅이 평탄하여진다’라고 하시자 저의 마음이 열리어 몸에 있는 미진(微塵)이 세계를 조성한 미진과 평등하여 차별이 없음을 보았으며, 미진의 자성이 서로 저촉되지 아니하며 도병(刀兵)이라도 저촉됨이 없어서 저는 존재의 성품에서 무생법인을 깨달아 아라한이 되었삽고, 지금은 회심(廻心)하여 보살의 자리에 참여하였으며(廻心今入菩薩位中), 여래께서 묘련화(妙蓮華)의 불지견지(佛知見地)를 말씀하심을 듣고 제가 먼저 증명하여 상수가 되었나이다.”
『능엄경』 권5

아난을 사모한 한 여인의 비련에서 출발하는 『능엄경(楞嚴經)』은 시종일관 회심을 설하는 경전이다. 『능엄경』 권5에서는 미혹과 무명의 굴레를 벗어난 25명의 비구와 보살이 등장하여 원통(圓通)의 깨달음을 얻게 된 회심의 계기를 고백한다. 지지보살은 저 겁의 저편에서부터 비구의 몸으로 길을 닦고 다리를 놓는 토목공사를 통해서 사람들에게 이익과 안녕을 주었다. 뿐만 아니라 사람들의 짐을 대신 짊어지기도 하고 진흙구덩이에 빠진 소를 구출하는 등의 보살행을 거듭한 끝에, 비사부 부처님으로부터 “마음자리가 평탄하면 세상이 평탄해진다.”라는 가르침을 듣고, 몸과 세계를 이루는 미진(元素)의 무차별성을 보게 되어 무생법인(無生法忍)을 깨달아 아라한과를 얻는다. 그 후 회심하여 보살지를 수행하면서 여래의 능엄회상에서 자신의 지대원통(地大圓通)을 증명하고 있는 것이다.

선심하고 마음닦아 불의행사 하지마소
회심곡을 업신여겨 선심공덕 아니하면
우마형상 못면하고 구렁배암 못면하네
조심하야 수신하라 수신제가 능히하면
치국안민 하리오니 오무쪼록 힘을쓰오
적덕을 아니하면 신후사가 참혹하니
바라나니 우리형제 자선사업 많이하여
내생길을 잘닦아서 극락으로 나아가세

회심곡

사람들이 회심곡의 소박한 가사에 이끌리는 까닭은 고차적인 교리를 설하거나 입으로만 일체 중생을 제도하자는 허위의식을 설하는 것이 아니라 바로 개인의 진정한 회심을 노래하고 있기 때문이다. 선(禪)의 깨달음 역시 전도된 허위의식을 소멸한 뒤의 소박한 회심, 보리심의 깨달음, 자비심의 깨달음일 때만 진정한 지혜로 사용될 수 있는 깨달음인 것이다. 옛날에는 선종을 왜 불심종(佛心宗)이라고 불렀겠는가?

일체의 소승(小乘)도 모두 회심하나니 모두 불성력이 있어서 내면적 행위의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여래의 대자대비력은 바깥 연(緣)을 버리지 않게 하기 때문이며 근본무명이 또한 다 없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며 소승의 열반이 궁극적인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일체중생은 회심하여 대보리로 향하지 않는 일이 없는 것이다.
법장, 『화엄오교장』

화엄오교장』의 십현문(十玄門)에서는 제9현문으로 ‘유심회전선성문(唯心廻轉善成門)’을 설한다. ‘유심회전선성문’의 교의적 기초는 바로 일체 중생이 본래 갖추고 있는 ‘여래장자성청정심’이다. 아무리 미혹과 에고이즘으로 가득 찬 중생이라고 할지라도 마침내는 모두 불성의 힘과 여래의 대자대비력으로 회심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처럼 회심은 불교실천의 근본적인 동력이며 동시에 모든 종교적 실천의 근본적인 동력이기도 하다. 카톨릭의 성자, 성 안셀무스(1033~1109)는 세속시절 숲 속으로 사냥을 갔다가 한 마리의 사슴을 보고 활을 겨눈다. 그러나 안셀무스는 활을 쏠 수 없었다. 사슴의 머리가 찬란한 후광으로 빛나고 있었기 때문이다. 회심의 순간을 맞이한 안셀무스는 그 자리에서 화살을 꺾어버리고 수도원의 문을 두드리게 된다. 안셀무스의 회심과 같은 경우는 마조도일의 제자였던 사냥꾼 석공혜장에게도 일어났다. 두 경우 모두 오직 마음의 깨달음 때문에 일어난 회심이었다. 이처럼 ‘유심’은 마음의 자기생성력, 자기회복력을 강조하는 불교사상의 기본입장이기도 하지만 우리가 은폐하고 싶어하는 삶의 허상을 정면에서 바라보고 허상과 위선에 오염된 자아를 초극하려는 치열한 세계관을 보여준다. 인간의 생로병사를 오직 마음의 깨달음이라는 불길 속에서 단련한다는 불교수행의 기초는 세상의 어떤 이데올로기보다 더 강한 인간정신의 단련을 요구한다. 그러므로 회심은 바로 선의 수행이자 불교적 삶의 최초이자 최후의 준거이다.

만약 결정적인 믿음과 지혜를 얻지 못한 사람은 겁의 한정을 논할 것 없이 인연을 만나야만 회심하여 대승의 길로 향하게 되나니(回心向大) 부처님께서는 방편으로 화성(化城)을 세우셔서 삼계를 벗어나게 하신다. 부처님을 신앙하므로 제불보살의 가피력과 방편을 입자와 드디어 큰마음으로 처음 십신(十信)으로부터 모든 수행의 자리를 편력하며 삼무수겁이 지나도록 난행고행 끝에 성불하게 되는 것이다.
『菩提心論』

회심의 실천은 두 가지 영역에 이루어진다. 원리적인 면을 강조하는 이(理)의 영역에서는 ‘회심향대(廻心向大)’, 즉 지금까지 자신이 갇혀있던 소승적인 미망에서 벗어나 대승의 길로 향하는 회심과 현상적인 면을 강조하는 사(事)의 영역에서는 ‘회심참회(廻心懺悔)’, 즉 타인에게 고통을 주고 자신도 수치스러운 일체의 탐욕과 그릇된 견해를 참회하고 축생의 행동이 아닌 인간의 삶으로 나아가고자 하는 회심이다. 회심에는 반드시 부처님의 가르침을 사모하고 우러러 배워서 마침내는 신심을 일으키는 ‘앙교생신(仰敎生信)’이 필요하다. 그러나 모든 사람이 다 ‘앙교생신’의 길로 나아갈 수는 없다. 사람에 따라서는 근기가 열악하고 업장이 무거워서 자신의 힘만으로는 강한 경계의 힘을 극복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때문에 영명연수(永明延壽, 904~975) 선사는 『만선동귀집(萬善同歸集)』에서 “비록 부처님의 가르침을 우러러 배우고 믿음을 일으켰다고 하더라고 그 역량이 충분치 못하고 마음이 들뜨고 성찰하는 힘이 얕아서 업장이 무겁고 경계가 강할 때에는 부처님과 스승들의 힘을 빌려야만 지혜의 힘을 얻어서 보살도를 실천할 수 있다 (雖卽仰敎生信 其乃力量未充 觀淺心浮 境强習重 … 以倚勝緣 忍力易成 速行菩薩道).”라고 회심의 길을 보여준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