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제비를 위하여
상태바
꽃제비를 위하여
  • 관리자
  • 승인 2007.09.24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엽편소설

초등학교 4학년인 아들과의 식사시간은 늘 신경전의 연속이었다. 녀석은 어릴 때부터 밥때가 되면 배가 아프다거나 머리가 어지럽다며 제 방에 틀어박혀 있고는 했다. 하지만 엄마인 나로서는 녀석의 속셈을 빤히 알고 있다. 또래의 아이들처럼 햄버거나 치킨, 피자 따위에 식욕을 느낄 터이니 늘 비슷한 반찬에 그렇고 그런 찌개가 전부인 식탁에 앉아있는 게 여간 고역이었으랴. 어쩌면 배가 아프고 머리가 어지럽다는 핑계는 꾀병이 아니라 사실일지도 모른다.

본래 무뚝뚝한 성격을 타고난 남편은 식탁에서도 씹고 삼키는 일 빼놓고는 거의 입을 열지 않는 편이다. 남편은 아이들의 식사습관에 대해선 군대처럼 엄한 규율을 세워놓고 있었다. 이를테면 규칙적인 식사, 밥을 소리내어 씹는 일, 편식하는 일, 밥알을 남기는 일, 식탁에 앉는 자세 등 아이들이 저지르는 여러 가지 좋지 않은 습관을 고쳐주기 위해 신경을 곤두세우곤 한다.

오늘 저녁만 해도 그랬다.

모처럼 제 시간에 퇴근한 남편과 더불어 오랜만에 온 식구가 둘러앉아 저녁식사를 할 참이었다. 하지만 하교를 한 뒤 이것저것 군것질을 하고 난 아이가 처음부터 제 아빠의 심기를 건드려 놓기 시작했다. 몇 번이나 밥을 먹으라고 불렀는데 숙제가 바쁘다며 꼼짝 않더니 식탁에 앉아서도 밥알을 세고 있었다. 나도 그런 편이지만 남편도 밥을 ‘께작께작’ 먹는 사람을 가장 싫어했다.

“너 밥 먹기 싫으면 일어서! 그렇게 억지로 먹을 필요 없어.”

마침내 남편의 목소리가 커지고 말았다.

“빨리 일어서지 못해?”

이따금씩 그런 일이 생기고는 했다.

남편은 말로 안 되는 건 제 스스로의 체험으로 배우게 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말을 종종 하고는 했다. 그래서 내가 아이의 숙제를 함께 풀어주거나 장난감 따위로 어수선한 녀석의 방을 정리해 주려고 하면 질색을 했다. 숙제를 못해 벌을 받든 장바닥처럼 어지럽혀진 방에서 잠을 자든 그냥 내버려두라는 식이었다. 그런 것이 얼마나 불편하고 자신에게 이롭지 못한가를 몸소 깨달아야 버릇을 고칠 수 있다는 게 남편의 주장이다.

밥을 먹는 문제만 해도 그렇다. 계집애인데도 이것저것 닥치는 대로, 그것도 적지 않게 먹어대는 둘째와는 달리 큰 아이는 어쩐지 입이 짧은 편이었다. 물론 이웃집 아이들처럼 패스트푸드에 완전히 길들여진 상태는 아니었지만 군것질이 잦은데다 밥보다는 햄버거를, 된장보다는 치즈를 더 좋아하는 게 문제였다.

남편이 그런 것까지 간섭하는 것은 아니었지만 적어도 식사시간에 반찬투정을 한다든지, 마지못해 먹는다든지, 밥을 먹다 말고 남긴다든지 하는 버릇만큼은 쉽사리 보아주질 않았다. 식사라는 것은 단순히 고픈 배를 채우는 일이 아니라 삶을 삶답게 지탱시키는 구체적인 행위이자 경건한 의식(儀式)이라는 것이 남편의 지론이었다. 남편의, 숟가락 놓고 일어서라는 호통은 그 경건한 의식을 이해하지 못하는, 아들에 대한 교육 방법의 하나였다. 이를테면 배가 쫄쫄 고픈 게 얼마나 자신을 고통스럽고 비참하게 만드는가를 알게 하자는 것이다.

제 아빠의 불 같은 성격을 익히 아는 녀석은 이내 자세를 바로잡은 뒤 아무 소리 없이 밥을 떠넣으려 했다. 하지만 남편의 역정은 그 정도로 그치지 않았다.

“야, 임마! 내 말 안 들려? 숟갈 놓고 일어서란 말야.”

입에 넣은 밥을 오물오물 씹던 녀석은 마침내 고개를 숙인 채 비쩍 마른 몸을 일으켰다.

“입맛이 없어서 그런 걸…화를 내구 그래?”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