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치병(難治病)-자랑<虚勢>을 생각해 본다-
상태바
난치병(難治病)-자랑<虚勢>을 생각해 본다-
  • 관리자
  • 승인 2009.09.28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운악산 한화(雲岳山閒話)

탐욕은 모든 화물의 근원

요즘의 세태를 P․R시대라 한답니다. 자기의 능한점, 자기 물건의 우수한 점을 자랑함으로 남의 인정을 받게 되고, 남의 인정을 받아야만 자신이 살아갈 수 있기 때문이리라 믿어집니다.

그래서 이 자랑을 선전이라 부르면서 입으로, 글로, 그림으로 온갖 수단을 동원하여 열을 올리는 것입니다.

물론, 자신의 노력으로 얻어진 만족스러운 결과에 대하여 남에게 알리고, 그렇게 함으로써 남에게도 이로움을 주고 자신도 이롭자는 행위야 문제가 될 수 없을 것입니다. 단지 생각해 보아야 할 문제가 있다면, 그 자랑이라는 낱말 속에 감춰져 있는 사고방식의 일부일 것입니다. 자랑하려는 마음씨를 흔히들 노출심리(露出心理)라 하는데, 별수 없는 자신의 속마음을 남에게 노출시키려는 심리라는 것입니다.

이런 측면에서 본다면 부처님께서 처음으로 도를 깨달으시던 날, 누군가에게 이야기를 해주어야 되겠다고 생각하셨다는 것도 이 범주에 들어야 될 것 같고, 길거리의 싸구려 장수가 목청을 돋구는 것도 같은 유형으로 보아야 될 것 같습니다. 그러나 이들 두 가지 유형에는 엄연한 차이가 있음을 무시할 수 없을 것입니다.

다시 말해, 전자는 만인류를 위해 조건없이 내 것을, 또는 내 아는 것을 내놓겠다는 것인데 반해, 후자는 약간 속이더라도 자신의 이익을 고려한 행위이기 때문에 다르지 않을 수 없는 것입니다. 자기를 비우지 못한 상태에서 내세우는 주장에는 언제나 자기 본위의 욕심이 따르기 마련입니다.

그러므로 과다한 선전, 윤리에 저촉되는 선전 등의 명목으로 그 활동을 규제하는 제도까지 등장하기에 이르른 것입니다.

겉으로 내뱉는 말이야 본전에 주느니, 밑지고 파느니 하여도 속마음에 욕심이 도사리고 있는 한, 속임수 밖에는 안되는 것입니다. 뿐만 아니라, 모르면서 아는 체, 옳지 못하면서도 옳은 체 하는 일들도 모두 이런 범주에 속한다고 보아야 할 것입니다.

그러므로 경전에는 탐욕을 일러 모든 허물의 근원이 된다고 누누이 가르치고 있습니다. 모든 허물의 근본일 뿐 아니라 모든 고통의 원인까지도 모두 욕심에다 돌리고 있습니다.

욕심이 주동이 되어 남보다 나으려는 교만, 진실을 도호하여 속이려는 거짓, 창피한 줄 모르는 무참(無慚)등이 합세하여 나타나는 것이 자랑의 특성으로서 이러한 경우를 탐욕․교만․거짓․무참 등의 등분(等分)이라 부릅니다.

이렇듯 화려하게 떠드는 말 속에는 속임수라는 것이 숨어 있는 것이 상례이므로 그 자랑을 듣는 이들은 믿지 않으려는 생각으로 단단히 무장을 하는 것이 또한 볼만한 일입니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