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만 부인의 설법과 수기
상태바
승만 부인의 설법과 수기
  • 관리자
  • 승인 2009.09.02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거사와 부인이 함께 읽는 불경 이야기 / 『승만경』

장마가 지나고 더위가 몰려오자 모두들 휴가를 떠납니다. 그런데 대개의 휴가란 것이 이동 중에 이미 진이 빠지기 마련입니다. 목적지로 가는 길이 주차장이 되어버린 것을 보고 많은 이들이 집 떠난 것을 후회합니다. 차라리 집에서 가족들과 선풍기를 켜놓고 수박 한 통 나눠먹는 것이 더 좋을지 모릅니다. 나아가 “우리 모두가 성불할 수 있다.”는 확신을 주는 『승만경』을 함께 읽는 것이 더 나을지 모릅니다. 우리 도반들은 이번 휴가철에 한 거사 - 부인의 집에 모여 승만 부인의 설법과 수기가 설해진 『승만경』을 읽기로 했습니다.

환정 거사 _ 오랫동안 신행을 해 오면서 재가불자의 정체성에 대해 생각해 보았어요. 출가자가 중심이 되는 초기불교 및 부파불교와 달리 대승불교는 재가자 중심의 신행을 해 왔습니다. 이제 재가자도 출가자의 외호(外護)와 청법(廳法)에 머물 것이 아니라 깨침과 나눔을 행하는 수행자로 거듭나 보고자 합니다. 불교적 인간의 삶의 모델도 아라한상에서 보살상으로 전이되어야 합니다.

민락 부인 _ 당시에는 불탑 신앙의 흥기, 불전 문학의 탄생, 대승 경전의 편찬 등이 주요한 계기가 되었지요. 지금 역시 그러한 변화의 중심에는 재가불자들의 올바른 위상을 확보해야 한다는 자각이 있어야겠지요?

만산 거사 _ 그렇습니다. 이제 수동적인 불자가 아니라 능동적인 불자, 다시 말해서 배우는 불자가 아니라 행하는 불자로 바뀌는 것이지요.

정여 부인 _ 『승만경』은 본디 『승만사자후일승대방광방편경』(1권)입니다. 보리유지가 개역한 『대보적경』에 제48 승만부인회가 있지만 널리 알려진 것은 구나발타라가 번역한 것이지요. 대부분의 주석도 이 번역에 근거하고 있습니다. 범본은 산실되었지만 『보성론』 속에서 상당부분을 인용하고 있고 『대승집보살학론』 속에도 인용이 있어서 범본의 단편을 엿볼 수 있지요. 티베트역본은 『대보적경』 제48 승만부인회를 번역한 것입니다.

승만 부인 _ 『승만경』은 ‘모든 존재들은 여래의 본성[如來藏]을 지니고 있다’는 여래장계 경전(『여래장경』, 『부증불감경』 등)의 중심입니다. 이 경전은 사위국의 파사익 왕과 말리 부인이 딸인 승만 부인의 보리심을 일으키기 위해 편지를 쓰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승만 부인은 부처님께 귀의한 뒤 10대 서원과 3대 원을 세웁니다. 다시 하나의 큰 원인 정법(正法)을 받아들이는 원을 설하려고 하자 부처님이 이것을 기쁘게 받아들여 듣기를 허락한다는 형식을 취하고 있지요. 승만 부인은 삼승(三乘)의 가르침이 모두 대승의 일승(一乘)에 귀일한다는 것, 중생이 모두 번뇌에 싸여 있지만 본성은 청정무구하여 여래와 같은 성품을 갖추고 있다고 제시합니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