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중흥을 위한 승단의 역할
상태바
불교 중흥을 위한 승단의 역할
  • 관리자
  • 승인 2009.07.20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특집 / 한국 불교중흥의 전망과 과제

 단(僧團)의 정체성(定體性)은 기본적으로 부처님 당시의 수도원적 성격에서 그 전형을 찾을 수 있다. 물론, 이것은 이후 전개된 불교의 역사를 통하여 많이 변화되어 왔다. 예컨대, 인도에서는 대승불교운동과 때를 같이하여 승단이 재가불자에게 구체적인 관심을 갖게 되었으며, 중국에서는 유교의 충효사상의 영향을 받아 승려들이 정치에 관심을 갖게 되었으며, 한국에서는 삼국시대 이후 승단이 왕권 내지는 귀족집단과 깊은 관계 속에서 귀족불교의 틀을 벗어나지 못하고 그들의 이익을 대변해 왔다.

 그러나 이와같은 역사과정 속에서도 면면히 숭고하게 이어져 오는 정신은, 승단이 청정과 평등과 화합을 기초로 수도하며, 그에 따라 중생을 교화하는 사명을 가진 단체라는 것이다.

 한국적 현실에서, 불교중흥을 위한 승단의 역할도 크게는 이와같은 맥락속에서 파악되어져야 한다고 본다. 구체적인 삶의 현장에 참여함은 물론이고, 역동적인 미래의 비젼을 제시하여야 함은 현재 불교가 안고 있는 여러 난제 가운데 어느 것보다도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현재 교단이 처해있는 상황으로 비추어, 이들이 원만히 해결 · 수행되리라 낙관할 수 만은 없다. 왜냐하면, 이조 불교가 역사적 공백을 겪음으로 인하여 참다운 승려의 상에 동요를 이르켰고 한일합방 이후 승려에 대한 전문교육의 부재는 승단이 현실 정치 · 사회 · 경제 · 문화 등 모든 면에 탄력적으로 대처하는 능력의 부재를 초래하였으며, 이에 더하여, 출가자와 재가신자 사이의 윤리는 권위와 순종이라는 비불교적 관계로 전락하고 말았다.

 불교의 중흥은 근본적으로 이에 대한 심각한 반성에서 시작되어야 한다.

 앞에서 지적된 수도인의 상에 대하여는 교단의 일각에서 심각한 반성이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안다. 승단의 정통성은 역사적인 맥락에서 바라보면 구도정진하여 깨달음을 얻은 후 중생을 교화해 온 것에 있다. 그리고 이것이야말로 진정한 생명력을 지닌 것이었다. 이에 때로는 깨달은 선지식은 기존의 사회질서 변혁의 주체자로서 역할을 하기도 하였고, 사회의 안정기조 구축에 공헌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숱한 역사속에서도 교단은 깨달은 자 중심으로 뭉쳐졌으며, 또한 수행자는 깨달은 바에 의하여 중생을 제도한다는 원칙은 일관되어 온 사실이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