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와 인간주의적인 치료법
상태바
불교와 인간주의적인 치료법
  • 관리자
  • 승인 2009.06.10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권말기획 / 불교와 상담 4
▲ 민속촌에 살고있는 대가족사진

 흐름을 알아야

 회는 급격하게 변화를 거듭하고 우리도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지 않으면 안된다고 했지만 그래도 동양권은 서양보다 변화가 덜한 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안심해도 된다는 얘기는 아니다. 오히려 서양에서는 겪지 않아도 되었던 문제가 동양에서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일예로 얼마전 일본의 잡지에서 나온 보고는 주목할 만하다. 일본학자와 독일학자의 공동연구의 결과였는데, 독일은 서양을 대표하고 일본은 동양문화권을 대표하는 식으로 하여, 급격하게 핵가족화되어 가는 현실에서 부모 자식관계를 비교, 조사 한 것이었다.

 그런데 여기서 재미있는 것은, 만일 당신이 고도에 유배된다고 할 때 누구하고 가장 같이 가고 싶습니까?' 라는 질문이었다. 여기서 일본 아이들은 대답의 대상에 부모가 들어간 경우가 하나도 없었다. 이에 반해 독일은 4%의 아이들이 부모와 함께 있는 것을 택하고 있었다. 놀라운 사실이 아닐 수 없다.

 우리가 상식적으로 생각하기에, 동양은 옛부터 부모에 대한 경로 · 효친사상이 지극하고, 반대로 서양은 부모와 자식의 관계가 건조하다고 알고 있었다. 그런데 실제 조사해 보니 반대 현상이 나타난 것이다.

 그리고 또 하나는 '1년에 떨어져 있는 부모를 평균 몇번이나 찾아가나? 하는 질문이다. 일본인의 평균치는 4번으로 내용은 명절때 찾는 것이었다. 그런데 독일은 1년에 25번 부모를 찾는다.

 이러한 이외의 결과에 조사한 학자들은 어떻게 해석해야 좋을지 난감해 하다 이러한 결석을 내렸다. 일본뿐만 아니라 우리나라도 점점 해당되는 범위가 커지는 것같아 요약해 보면,

 동양에서 평균 4번 부모를 찾는 경우는 주로 명절 때로, 평소에는 살림이 어렵기 때문에 무엇인가를 사서 들고가야 할 것같은 부담이 었어 들고 갈 것이 없으면 고민을 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4번 갈 것도 3번으로 줄어들 수 밖에 없다. 그런데 서양은 무엇을 굳이 들고 가지 않는다. 따라서 부담이 없는 것이다.

 또한 서양인들이 부모를 자주 찾는 이유는, 서양 아이들은 부모를 가장 가까운 남으로 생각하기 때문이다. 부모는 남이지만 남중에서도 가장 가까운 남이라고 생각한다. 가까운 남 즉 가장 친한 친구이다. 부모 앞에서는 허물없이 얘기할 수 있고 마음속에 있는 것을 얘기할 수도 있다. 그곳을 찾으면 마음이 푹 놓이기에 자주 찾는 것이다.

 그러나 일본을 비롯한 동양은 그렇지 않다. 대화가 없다. 어른께 큰절하고 나면 너희는 너희들끼리 가서 이야기해라 하고 내쫓는다. 그리고 한방에 있어 봤자 이야기할 거리도 없다. 특수한 틀에 맞춰진 인간관계에 속박되어 연결은 되어 있으나 명분상 뿐이지 실질적으로  못한 것이다.

 이는 농경사회라는 대가족중심의 생활속에서 전통적으로 내려온 동양의 관습과 현대 산업사회의 도래과정에서 오는 갈등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결국 전통과 현실이 부드럽게 이어지지 못한 때문이다.

 그러나 가족중심의 따스함과 산업사회라는 흐름 어떠한 것도 무시 할 수 없는 부분이다. 최근에는 서양에서 오히려 동양의 가족중심의 인간문화를 생산적인 측면에 수용하려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우리의 과제는 앞으로 이 양자를 어떻게 결합하고 발전시켜 나아가느냐 하는 것이다.

 1차적이고 원초적인 집단, 가족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