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자리 시끄러브믄 여그 또 온나!”
상태바
“마음자리 시끄러브믄 여그 또 온나!”
  • 관리자
  • 승인 2009.05.26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혜의 향기 / 내가 만난 부처님

사위가 칠흑에 잠긴 봄밤, 지리산 자락의 한 칸짜리 오두막에서 나는 만난 지 몇 시간 지나지 않은 생면부지의 할머니께 노래를 청했다. 한참 전에 이부자리에 들었으나 잠이 오지 않았기 때문이다. 한 치 앞도 분간할 수 없이 빽빽이 들어찬 어둠의 입자들은 할머니의 노랫가락을 타고 춤을 추듯 감미로웠고 애틋한 노랫말과 함께 위안을 주었다.

10여년 전 늦봄, ‘나홀로 여행’ 길에서 할머니 한분을 우연히 만났다. 구례의 시골길을 걸어 하동의 접경에 있는 화개장터로 가던 참이었다. 하염없이 길을 걷다가 날이 저물기 시작해 버스를 탔다. 내남 없는 이웃인 양 이야기꽃을 피우는 일군의 노인과 아낙들 사이에 놓인 보따리 속에서 닭이 목을 빼고 두리번거리기도 하고 낫이며 호미가 덜거덕거리는 버스 안의 풍경은 정다웠다. 처음 눈을 마주친 할머니께 화개장터에서 묵을 민박집을 여쭤봤다. 여린 체구에 야무진 눈매의 할머니는 “큰애기가 겁도 없나?” 하고 무뚝뚝하게 핀잔을 주시더니 버스가 두 정거장을 지났을 무렵 “니 할매 따라갈래?” 하셨다. 후일 여기까지 얘기하자 친구들은 흉흉한 세상에 겁도 없다며 혀를 찼다. 그러나 나는 왠지 할머니를 따라가고 싶었다.

나는 할머니가 민박을 하시나 하는 생각도 했다. 화개장터에서 버스를 내린 할머니는 인가를 지나 지리산 쪽으로 나를 데려가셨다. 산비둘기가 정적을 깨고 다람쥐가 뛰어다니는 산길을 한참 걸어 올라간 곳에 거짓말처럼 오두막이 나타났다. 말없이 앞장서시던 할머니는 “내는 요 산에서 녹차 따는 일하러 온대이. 여기는 일하는 사람 쉼터고.” 하셨다. 그러곤 머릿수건으로 툭툭 바지춤 먼지를 터시고 밖으로 나가시더니 이내 저녁상을 봐오셨다. 우렁각시가 따로 없었다. 구수한 된장찌개에 갓 쪄낸 호박잎과 풋고추가 입맛을 돋우었다.

그날 밤, 할머니는 일흔두 해 인생길에서 만난 희로애락을 얘기해 주셨다. 일찍 남편을 잃고 혼자되었으나 타고난 음식솜씨로 크게 식당을 하면서 남부럽지 않게 자식농사를 짓고 이제 살 만하다 싶었을 때 뇌종양이 찾아왔다고 한다. 연이은 수술에 지쳤을 때 세상사 잊고 공기 좋고 물 맑은 데 가서 여생을 맞으라는 의사의 말은 사형선고나 매한가지였지만, 정작 모든 욕심을 버리고 지리산 자락에 깃드니 병세는 호전되었다고 한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