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얼 우리 문화
상태바
우리 얼 우리 문화
  • 관리자
  • 승인 2009.05.19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민화-그 소망의 세계

    민화는 조선시대 서민들이 사용하던 생활 그림이다. 지금처럼 감상을 위해 그려진 그림도 아니고 예술품으로 대접받으며 귀하게 여겨지던 그림도 아니다. 민화는 우리가 일상으로 사용하는 방을 장식하는 실용성을 갖고 있는 것이 첫번째 특징이며 또한 거기에 서민들의 소망을 담아내고 있다는 것이 두번째 특징이다.

 이러한 민화들이 어느때 부터 시작되었는지 누구도 확언할 수는 없지만 삼국시대의 무덤 벽화들이 꽤 많이 남아있는 것으로 보아 그 뿌리가 매우 깊은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지금 현재 남아있는 민화들은 모두 조선시대 이후의 것이므로 조선민화라는 공용어가 생겨나게 되었다.

 민화는 이해하기 힘든 그림이 아니다. 누구나 보면 알 수 잇는 서민들의 그림이다. 그러면서도 거기에는 우리의 선조들이 갖고 있는 종교, 사상, 바램과 풍자들이 풍부하게 표현되어 있다. 비록 그 민화들이 구도도 맞지 않고 기법도 없으며 예술품으로서의 진가를 갖고 있지는 않다고 하더라도 우리는 그 그림들에서 부드러움과 은근한 소망을 함께 나눠 가질 수 있다.

 조선시대에는 그림을 그리는 사람을 화공이라 하였고 환쟁이라고 비하하여 부르기도 하였다. 유교를 국가 이념으로 세운 조선시대 속에서 무엇을 만들거나 그려내는 장인들은 귀한 신분이 아니었던 것이다. 양반 중에서도 그림을 잘 그리는 사람들이 출현하였는데 그들은 스스로 그림을 그리면서도 '그림은 천한 기예'라고 하여 어떠한 긍지도 갖고 있지 않았다. 곧 양반에게 있어서 그림은 시간이 날 때 연마해 보는 여기에 지나지 않았으며, 또한 그들은 그림의 표준을 중국에 두어 그 쪽의 화풍을 따르고자 노력하였기 때문에 민간에서 유행하던 민화와는 그 풍격을 완전히 달리 하였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