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북 구미시 금오산(976m)은 산 전체가 급경사를 이루며 다양한 모양의 기암괴석으로 이루어져 있다. 산세를 따라 크고 작은 물줄기와 긴 계곡이 굽이굽이 이어진다. 또한 불교, 유교, 도교 등의 유서 깊은 문화유적이 금오산 곳곳에 산재해 1970년, 우리나라 최초의 도립공원으로 지정됐다.
웅장한 산세는 행정구역상 구미시와 김천시, 칠곡군에 펼쳐져 있다. 그렇다 보니 지역마다 바라보이는 형세가 다르고 따라서 풍수적 해석도 다양하게 나타난다. 구미시에서 바라본 금오산의 풍수는 왕이 배출될 곳이라 하여, 자연스레 구미에서 태어난 박정희 전 대통령의 존재를 떠올리게 한다.
구미시(龜尾市)는 원래 선산군(善山郡) 구미읍이었으나 박 전 대통령의 생가가 있는 인연으로 1978년 2월 시로 승격됐다. 이후 전자산업 단지가 조성되며 젊은 층이 많이 유입되는 지방의 대표적 산업도시가 됐다. 또한 박 전 대통령은 금오산을 자연보호운동의 발상지로 만들기도 했다. 반면 한때 부사가 파견되기도 했고, “조선인재의 반은 영남에 있고 영남인재의 반은 선산에 있다(朝鮮人才半在嶺南, 嶺南人才半在善山)”(이중환, 『택리지』)던 선산은 이제 읍 소재지로 남아 있다.
구미시의 곳곳에는 낙산리 가야 고분군, 왕건의 후삼국 통일을 둘러싼 영토분쟁지, 선산향교·인동향교·금오서원 등의 유구한 역사 자료는 물론, 풍부한 불교·유교·도교 유적지와 전설이 산재한다. 신라불교의 발상지인 구미시의 불교 유적은 선산의 아도 전설이 남아 있는 전(傳)모례가정과 도리사가 대표적이며, 옥성면 대둔사·무을면 수다사, 선산읍 죽장리 오층석탑·도개면 주륵사지 탑 등이 갖는 유적들의 무게도 만만치 않다. 여기서는 금오산의 불교 유적 중 대표적인 곳을 살펴보고자 한다.
월간불광 특집 기사 전문은
유료회원에게만 제공됩니다.
회원가입후 구독신청을 해주세요.
불광미디어 로그인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