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륜성왕을 꿈꾼 광개토왕] ‘광개토경 평안호태왕’
상태바
[전륜성왕을 꿈꾼 광개토왕] ‘광개토경 평안호태왕’
  • 박미선
  • 승인 2024.03.25 09: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륜성왕을 꿈꾼 왕
바이샬리에 세워진 아쇼카 석주. 이 같은 기둥이 인도 전역에 세워졌다. 출처 셔터스톡

광개토왕(재위 391~412)은 고구려 제19대 왕으로 이름은 담덕(談德)이며, 고구려 역사뿐 아니라 우리나라 역사상 가장 넓은 영토를 정복하고 통치한 ‘정복군주’다. 광개토왕, 즉 ‘국강상 광개토경 평안호태왕 國上 廣開土境 平安好太王’이라는 왕호가 정복군주로서의 그의 활동과 업적을 단적으로 말해준다. 

‘정복군주인 광개토왕이 전륜성왕(轉輪聖王)이 됐다.(?)’ 이 말이 과연 성립할 수 있는가? 전륜성왕은 불교에서 말하는 이상적인 왕이다. 잘 알려져 있듯이 불교의 으뜸 계율은 ‘불살생(不殺生)’으로 불교의 이상적인 왕은 당연히 살생을 하지 않는 존재여야 할 것이다. 그러나 정복군주는 수많은 전쟁을 치르며 그 과정에서 많은 사람을 희생시키게 되는데, 그러한 정복군주가 불교의 전륜성왕이 될 수 있을까? 정복군주와 전륜성왕은 전혀 어울리지 않는 조합으로 보인다.

다만, 고구려 왕실에서 불교를 공인한 해가 372년(소수림왕 2)으로 광개토왕 때에는 이미 불교가 중심 이념으로 작용했다. 뿐만 아니라 4~5세기 중국에 불교가 널리 유행하면서 전륜성왕설이 적극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었다. 그러므로 광개토왕 또한 이러한 국내외적인 상황의 영향을 받았을 것이고, 그의 활동이나 통치 이념이 불교와 무관할 수 없었을 것이다. 4~6세기 불교를 수용하고 고대국가로의 성장을 모색하던 백제, 신라도 예외는 아니었다. 

 

전륜성왕(轉輪聖王)이란? 

앞서 불교에서 말하는 이상적인 왕이라고 했는데, 전륜성왕은 불교만의 독특한 개념이 아니다. 산스크리트어의 ‘바퀴(cakra·륜輪)’와 ‘굴리다(vartin·전轉)’에서 유래된 것으로, 바퀴가 걸림 없이 굴러가듯 왕의 통치가 원만하게 널리 미친다는 의미로 ‘세계적 통치자’에 대한 고대 인도의 개념이다. 이 전륜성왕은 칠보(七寶)와 사신덕(四神德), 1,000명의 용감한 아들들, 그리고 사병(四兵)으로 구성된 막강한 군대를 소유하고 있다고 한다. 이 소유물들은 광대한 영토를 다스릴 수 있는 통치 수단이자 상징으로 전륜성왕의 강한 왕권을 보여준다. 

이러한 전륜성왕 개념이 불교에 수용되면서 ‘통치라는 수단을 통해 다르마(dharma, 정법正法)를 실천하는 여법한 법왕(法王)’으로 정의됐으며, 수레의 두 바퀴처럼 부처의 세속적인 짝으로 설명됐다. 전륜성왕도 부처와 마찬가지로 32가지의 신체적 특징인 32상(相)을 가진다. 이로써 전륜성왕은 전통적인 강력한 통치자로서의 모습과 여법한 법왕의 모습을 동시에 가진 존재가 됐다. 

여기에 아쇼카(Asoka)왕이라는 구체적 실존 인물이 전륜성왕 개념 형성에 큰 영향을 끼쳤다. 인도 마우리아 왕조의 제3대 왕인 아쇼카는 인도 역사상 최초로 인도 대륙을 통일한 왕이었다. 통일 과정에서 치른 칼링가 전투 후 무수히 많은 시체와 고아들을 보며 전쟁의 비참함을 느끼고 불교에 귀의해 비폭력, 정법, 윤리에 의한 통치를 실현하고자 했다. 

또한 당시 통일 제국에는 다양한 종교, 언어, 관습을 가진 사람들이 있었으므로 이들을 통합할 수 있는 새로운 통치 철학이 필요했다. 아쇼카왕은 ‘다르마’를 통치 철학으로 삼아 각 지역을 순행하고 그 통치 철학을 비석에 새겨 세웠다(아쇼카 석주). 이로써 아쇼카왕은 전륜성왕의 전형으로 여겨졌고, 그의 행적에 따라 전륜성왕은 위대한 통치자, 정복자이자 불법(佛法)을 실천하는 법왕이라는 이미지로 인식됐다.  

 

전륜성왕 사상의 전래

이러한 전륜성왕 개념은 중국에도 전해졌고, 남북조 시대라는 혼란한 시대적 상황 속에서 왕의 ‘통치력과 권력’을 강조하는 전륜성왕이 부각했다. 북조에 할거한 북방 민족은 불교를 적극적으로 진흥시켰으며, 특히 북위(北魏)에서는 ‘왕이 곧 부처’라는 왕즉불(王卽佛)사상이 등장했다. 남조에서는 양나라의 무제(武帝)가 ‘국주구세보살(國主救世菩薩)’, 즉 황제보살로 칭해질 정도였다. 

중국의 통치자들은 전륜성왕의 모델인 아쇼카왕의 업적을 모방하며 자신이 전륜성왕임을 과시했으며, 아쇼카왕이 조성했다는 불상과 탑이 중국에 나타났다는 설화가 등장하기도 했다. 아쇼카왕과 관련된 경전인 『아육왕전(阿育王傳)』, 『아육왕경(阿育王經)』 등이 번역됐고, 아육왕탑이 곳곳에 세워졌다. ‘아육왕’은 아쇼카왕의 한자 표기며, ‘육왕(育王)’ 또는 ‘성왕(聖王)’이라고도 했다. 

고구려·백제·신라 삼국은 중국 남북조와 활발히 교류하면서 불교를 수용했고, 불교 수용의 주체가 왕이었던 만큼 전륜성왕 개념도 적극 받아들였다. 왕호에 전륜성왕을 표방하는 경우가 많았다. 


관련기사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