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륜성왕을 꿈꾼 광개토왕] 평양에 세워진 사찰
상태바
[전륜성왕을 꿈꾼 광개토왕] 평양에 세워진 사찰
  • 오택현
  • 승인 2024.03.25 09: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릉사, 누구를 위한 사찰일까?
북한 당국에서 근래 복원한 평양 정릉사 전경(사진 출처 『북한전통사찰 1』, 154쪽). 대한불교조계종 민족공동체추진본부 제공

평양에서 발견된 고구려 사찰

가장 오래된 역사서인 『삼국사기』에는 고구려의 불교 수용과 관련된 내용이 기록됐다. 고구려 소수림왕이 372년에 5호 16국 중 하나인 전진(前秦)으로부터 불교를 받아들였다는 내용이다. 이후 광개토왕이 393년, 평양에 아홉 개의 절을 창건했다고 한다. 이러한 내용으로 고구려 사회에 불교가 널리 퍼졌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후 고구려의 사찰에 대한 기록은 잘 보이지 않는다. 고구려 수도였던 지역은 현재의 환인·집안·평양이다. 환인과 집안은 중국에, 평양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하 북한)에 위치한다. 중국은 동북공정으로 인해 동북 지역의 정보를 제대로 제공하지 않고 있으며, 북한에서 발간된 발굴보고서 및 자료에는 북한 사회를 찬양하는 글로 인해 금서(禁書, 간행 및 소장, 열람을 금한 책이나 문서)로 지정돼 관련 내용을 확인하기 어려웠다. 이처럼 고구려의 사찰 흔적을 파악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문헌에 보이지 않는 사찰의 흔적은 북한이 평양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발견됐다. 북한은 대동강을 중심으로 개발하고자 했기에, 대동강 유역에 위치한 기존의 유적들에 대해 발굴조사를 진행했다. 그 결과 여러 사찰이 확인됐다. 평양에서도 고구려 불교의 흔적, 사찰의 흔적이 확인된 것이다.

 

고구려 사찰의 특징

한반도에 유입된 불교는 고구려, 백제, 신라 각각의 국가 상황에 따라 수용·변용됐다. 대표적인 것이 금당과 탑의 배치다. 백제의 가람배치는 1탑 1금당(한 개의 법당에 하나의 탑)으로 추정된다. 부여의 정릉사지가 대표적이며, 이러한 금당과 탑의 배치는 일본 오사카에 위치한 사천왕사(四天王寺)에 영향을 줬다. 신라의 가람배치는 2탑 1금당으로 보이는데, 감은사지와 불국사가 대표적이다. 고구려의 가람배치는 3탑 1금당으로 추측한다. 정릉사지, 금강사지, 원오리 사지, 상오리사지 등은 8각 목탑을 중심으로 동·서·북 세 방향에 금당이 있는 구조다. 물론 고구려·백제·신라의 모든 공간이 이처럼 동일한 공간구조를 가진 것은 아니며, 대체적인 경향이 그렇다는 것이다. 

고구려 사찰의 공간구조 중에서 흥미로운 점은 기단이 8각이라는 점이다. 정릉사지, 금강사지, 원오리사지, 상오리사지 모두 3탑 1금당의 형식에 8각 기단을 가지고 있다. 이런 점에서 8각 기단을 고구려 사찰의 특징이라고 봤다. 

이에 북한에서는 고구려 사찰 중에서 중요하다고 생각한 정릉사를 복원하기로 했다. 북한은 정릉사를 전(傳)동명왕릉을 위한 능사(陵寺, 능을 지키기 위해 능 근처에 지은 절)라고 주장했다. 그래서 정릉사를 복원할 때 (전)동명왕릉을 염두에 뒀다. (전)동명왕릉의 능사로 알려진 정릉사를 더 살펴보자. 

 

처음으로 알려진 고구려 사찰, 정릉사

문헌자료에 기록된 고구려 사찰은 많지 않다. 고고학 발굴을 통해 알려진 고구려 사찰 중 정확한 명칭을 알지 못하는 경우에는 청암리사지, 상오리사지, 원오리사지, 토성리사지 같이 발굴 당시 ‘지역명’+‘사지’를 붙여 사찰명으로 사용했다. 그러나 간혹 사찰의 이름을 확인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그 대표적인 사례가 정릉사다. 


관련기사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