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우도十牛圖] 소 치는 아이
상태바
[십우도十牛圖] 소 치는 아이
  • 김남수
  • 승인 2024.02.22 16: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십우도와 목우도에는 동자가 등장한다. 이 동자를 ‘소치는 아이(牧牛子)’라 부르기도 한다. 목우자(牧牛子), 정확히 고려시대 선불교를 이끌었던 보조 지눌 스님(1158~1210)의 자호(自號)다. 

송광사에 있는 스님의 탑비에 적혀 있고, 그 비에는 스님의 위의를 ‘소 걸음에 호랑이 눈길’이라 칭하는 우행호시(牛行虎視)라 했다. 십우도에 그려진 ‘소 치는 아이’는 비단 사찰뿐 아니라 이후 문인들의 그림에 반영되기도 했다. 마음을 닦는 것이 불자들만의 일이었겠는가?

홀연히 콧구멍 없다는 말을 듣고,
문득 삼천세계가 내 집임을 알았네.
유월 연암산 아랫길에, 
야인이 아무 일 없이 
태평가를 부르는구나.
- 경허 스님의 오도송(悟道頌)

순천 송광사에 있는 보조 지눌 스님의 감로탑비(甘露塔碑). 사진 유동영
감로탑비 탁본. 제일 위에 ‘보조국사비명(普照國師碑銘)’이 적혀있고, 탑비 본문에 ‘자호(自號)를 목우자(牧牛子)’라 했고, ‘스님의 위의가 우행호시(牛行虎視)와 같다’라는 문구가 보인다. 사진 유동영
소 등 위에 올라 피리를 부는 아이. 조선시대에 그려졌다. 십우도에 소를 타고 집으로 돌아오는  ‘기우귀가(騎牛歸家)’의 모습이 연상되는 그림이다.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소 치는 아이. 조선 후기의 그림이다. 출처 『사진으로 보는 북한회화-조선미술박물관』(국립문화재연구소, 2007) 

 


관련기사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