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온통 세상은 전쟁과 대통령 선거 얘기뿐이다. 도심 포교의 일선에 있는 소승은 이 주제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이 소용돌이 속에서도 산승들의 여유가 부러울 뿐이다. 하지만 한 생각 돌이켜보면 전쟁이 없던 시절은 인간사에 없었다. 이런 혼돈의 소용돌이 속에서 살았던 옛 스님들은 현실을 어떻게 대처해 나갔을까? 그분들의 상황대처법을 배운다면 더 현명하게 지금의 사태를 직시하고 판단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대혜종고(大慧宗杲, 1089~1163) 스님은 금(金)나라와 대치하는 격변의 시대인 남송 때의 스님이다. 강원에서 지금까지도 교재로 사용하는 초학스님들의 선 지침서인 『서장(書狀)』의 저자이기도 하다. 『서장』은 대혜 스님이 당시 남송의 사대부들과 주고받은 편지글 모음이다. 사대부들의 선수행 관련 의문과 스님의 답변을 추린 편지글을 모아놓은 것이다. 스님은 당시 대표적인 주전파(主戰派, 전쟁을 주장하는 파)였다. 주화파(主和派, 전쟁을 피하고 평화롭게 지내자고 주장하는 파)인 재상 진회(秦檜, 1090~1155) 일파와 맞서다가, 16년간 귀양살이하게 된다. 이 힘든 시기에도 참선법을 지도하며 재가불자들의 수행의식을 고취하려 했다.
늙은이가 태어나자마자 야단을 떨어(老漢纔生便着忙)
미치광이처럼 일곱 걸음을 걸었네(周行七步似顚狂).
월간불광 과월호는 로그인 후 전체(2021년 이후 특집기사 제외)열람 하실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불광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