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안의 문화이야기] 국립춘천박물관 전시
상태바
[지안의 문화이야기] 국립춘천박물관 전시
  • 노승대
  • 승인 2022.01.06 09: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호반의 도시, 춘천을 다녀왔다. 보고 싶었던 문화재가 국립춘천박물관에 소장돼 있어 한번은 가 봐야지 하면서 매번 미루었던 게으름을 비로소 깨는 날이 됐다. 역시 강원도를 대표하는 박물관이라 선사시대 유물부터 근대 유물까지 볼거리가 많았다. 관심 있었던 유물이 이곳에 소장된 것도 있어서 의외의 기쁨도 누렸다.

해방 후 3년 뒤인 1948년, 강원도 양양군 서면 미천골 신라시대 절터인 선림원지에서 범종이 하나 발견됐다. 신라 종은 오대산 상원사종(국보), 성덕대왕 신종(국보, 에밀레종) 두 점뿐이었기 때문에 해방 후 최대의 발견이라고 떠들썩했다. 절터에 그대로 놔둘 수 없어 오대산 월정사로 옮겼고 큰 법당 오른편에 종 틀을 설치해 매달았다. 의식이 있을 때마다 종을 울리니 천 년 전 신라의 종소리가 용마루를 넘어 깊은 숲으로 퍼져나갔다. 그러나 호사다마였나, 한국전쟁이 벌어지고 빨치산의 아지트가 된다고 해서 많은 사찰이 국군에 의하여 소각될 때 월정사도 불에 타는 비운을 겪었다. 우리가 우리의 역사를 지운 불행에 선림원 종도 화마를 피해 가지 못했다 1950년의 일이다.

차라리 1948년에 발견되지 않았더라면 온전히 보존될 수도 있었겠다는 아쉬움을 주는 선림원 종, 그 종의 남아있는 잔편이 국립춘천박물관에 소장돼 있어 비로소 와 보게 된 것이다.

 

석기시대에는 수렵 채취문화여서 주로 강줄기나 해안을 따라 이동했다. 남한강이나 북한강 줄기, 동해안 주변에도 집터나 고인돌이 많다. 출토된 다양한 토기.

 

강원도는 백제, 고구려의 영향을 받다가 결국 신라에 편입된다. 신라의 문물이 들어오며 말 장식 드리개나 목걸이, 귀걸이 등 장신구에서도 신라풍이 있다.

 

안압지에서 출토된 넓은 목간(木簡, 물품의 꼬리표)에는 강원도 고성에서 담은 젓갈을 급한 사신편으로 보낸다는 내용도 있다. 요즈음 말로 특급배송이다.

 

불타버린 선림원 종의 잔편들은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됐다가 춘천박물관이 개관되면서 다시 옮겨오게 되었다. 신라양식의 비천상이 또렷하게 보인다.

 

불타버린 선림원 종을 황수영 박사가 안타깝게 바라보고 있다. 잔해 앞의 종고리도 종이 발견될 때 같이 나왔다. 다시 종을 매달았으나 함께 불에 탔다.

 

종고리는 가늘어도 종의 무게를 견뎌야 한다. 쇠를 쉼 없이 담금질해가며 겹쳐 두드려서 탄성을 얻는다. 완전한 수제품이다. 에밀레종도 옛 고리를 썼다.

 

선림원은 해인사를 창건한 순응법사가 창건했고 종은 804년에 만들었다. 1,000여 자의 명문은 종의 안쪽에 새겼기에 표면이 말끔하다. 복제품 범종.

 

도깨비 망와도 신라의 영향을 받았지만 무섭다기보다 구수하고 순박한 강원도의 표정이다. 아래 이가 튀어나와 한바탕 크게 웃는 것 같기도 하다.

 

수막새의 문양이 도깨비, 용, 사자로 나뉘는데 확실한 사자 문양이다. 앞쪽의 두 발과 수사자의 갈기가 뚜렷하고 뿔도 없다. 어느 절터에서 나온 것일까.

 

송나라의 서긍이 고려에 다녀간 후 <고려도경>을 남겼는데 거기에 광명대가 쓰여 있다. 한마디로 불을 밝히는 등으로 촛대, 등잔 겸용이다.

 

그릇을 놓고 촛대를 세우기도 하고 구리등잔을 놓고 심지를 꽂아 불을 밝히기도 한다. 이를 광명대라고 불렀는데 쌍사자 받침대가 있는 유물은 매우 드문 편이다.

 

절에서 쓰는 스님용 발우다. 지금은 나무 발우나 플라스틱 발우를 주로 쓰지만 금속 발우도 썼었다. 네 개의 그릇을 겹쳐 하나로 쓰는 방법은 지금과 동일하다.

 

신라시대 말부터 조성되기 시작한 철불은 고려시대에 크게 유행한다. 그러나 청동과 달리 주물이 매끄럽지 못하다.

 

약사불은 드문 데다 상호도 원만한 약사철불 등 가운데에는 고리 모양 흔적이 있다. 등 뒤에 돌로 만든 광배를 세우고 이를 연결 고정하는 장치인데 광배는 사라지고 고리 흔적만 남았다.

 

1991년 원주에서 발견된 태실 석함이다. 왕실에서는 태의 처리가 아기의 성장 및 국가 존속에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하여 태실을 만들어 보호했다.

 

눈길을 걷기 위해 신발 아래에 덧신는 설피와 전통스키인 설마(雪馬). 초기 국가대표 스키선수에는 이 설마를 타고 놀던 강원 출신 아이들도 있었다.

 

심지에 불을 붙여 쏘는 화승총과 화약통. 조선의 대표 사냥꾼은 강원도 포수였다. 맹수가 돌진해도 겁먹지 않고 골동품 같은 총으로 한 방에 처치했다.

 

국립춘천박물관의 대표 브랜드는 단연코 영월 창령사지 출토 오백나한이다. 마치 동굴 속에 계시다가 나오시는 듯 나한의 얼굴에 시골 할아버지가 겹친다.

 

매시 정각에 상영하는 파노라마 스크린은 강원도의 자연유산과 문화유산을 압도적 스케일과 영상미로 보여준다. 북한에 있는 총석정도 관동팔경의 하나다.

 

총석정 앞 바닷속 풍경부터 일렁이는 파도까지 실감 나게 보여준다. 마치 우리 머리 위로 파도가 쏟아지는 듯해서 저절로 머리를 움츠리기도 한다.

 

사진. 노승대

 

(필자의 카카오스토리에도 실린 글입니다.)

 

노승대
‘우리 문화’에 대한 열정으로 조자용 에밀레박물관장에게 사사하며, 18년간 공부했다. 인사동 문화학교장(2000~2007)을 지냈고, 졸업생 모임 ‘인사동을 사랑하는 사람들 모임(인사모)’, 문화답사모임 ‘바라밀 문화기행(1993년 설립)’과 전국 문화답사를 다닌다. 『바위로 배우는 우리 문화』, 『사찰에는 도깨비도 살고 삼신할미도 산다』(2020년 올해의 불서 대상)를 집필했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