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곧은 수행자의 귀의처 뜻 잃은 선비들의 터전, 설악산
상태바
올곧은 수행자의 귀의처 뜻 잃은 선비들의 터전, 설악산
  • 노승대
  • 승인 2023.12.26 09: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마음속에 담아둔 절]
설악산 전경. 사진 불광미디어

설악산은 몸집이 크다. 인제, 양양, 고성군과 속초시에 걸쳐 있다. 하지만 화강암 암봉으로 이루어져 있는 데다 동해와 가까이 붙어 있어 더욱 수려하고 기이하다. 최고봉인 대청봉의 높이는 1,708m로 남한에서는 한라산(1,950m), 지리산(1,915m) 다음으로 높다. 

설악산이라는 이름 외에도 설산, 설봉산, 설화산으로 불렸다. 『동국여지승람』에는 “한가위에 덮이기 시작한 눈이 다음 해 하지에 이르러 녹는다 하여 설산이라 한다”고 했다. 

설악산은 영역이 넓다 보니 크게 세 구역으로 나눈다. 주봉인 대청봉과 북쪽의 공룡능선·마등령·미시령과 서쪽의 한계령에 이르는 능선을 설악산맥이라 하고, 그 동쪽 지역을 외설악, 서쪽 지역을 내설악이라 한다. 또 대청봉 동북쪽에 있는 화채봉과 서쪽의 귀때기청봉·대승령·안산을 경계로 그 남쪽을 남설악이라고 부른다. 

 

모든 시름을 놓아라

한계령은 백두대간에 놓인 다른 고개들처럼 도로가 뚫리기 전까지 등짐장수들이 넘나들던 길이다. 차가운 시내가 사시사철 흘러가니 한계(寒溪)라고 이름 지었다. 통곡의 세월을 보냈던 김시습도 이 한계의 물을 보며 자신의 심정을 그대로 읊었다. 

“嗚咽寒溪水(오열한계수)     오열하는 한계의 물은

 空山日夜流(공산일야류)     빈 산을 밤낮으로 흘러가는구나.”

그만큼 한계령은 긴 계곡을 가지고 있어 넘나드는 고갯길도 길었다. 양희은의 <한계령> 노래를 들으며 인제에서 한계령으로 들어선다. 한계사지로 가기 위해서다. 한계사지는 장수대에서 200m 거리에 있다. 장수대에 내린 등산객들은 등산로를 따라 대승폭포나 대승령 쪽으로 향하기 때문에 이 절터에 찾아오는 사람은 별로 없다. 안내판도 없고 감추어진 듯 숨어 있는 절터다. 

한용운 스님이 정리한 『백담사사적』에 의하면 한계사는 신라의 자장율사가 647년에 처음 지었다고 한다. 그러나 불이 자주 나서 여러 번 절 자리를 옮겼는데 그때마다 절 이름을 바꿨다. 운흥사(790), 심원사(987), 선구사(1434), 영취사(1447)로 이름을 바꿔 달았으나 결국 세조 3년(1457)에 지금의 백담사 자리로 옮겼다는 것이다. 지금 우리가 알고 있는 백담사가 바로 이 절이니 한계사는 백담사의 전신인 셈이다.  

지금 한계사지 절터에는 석물밖에 남아 있지 않다. 그러나 그 석물만 보아도 이 절이 신라시대에 창건된 것은 틀림없다. 금당터 앞의 긴 석축을 보면 자연석을 이가 맞도록 쌓았다. 전형적인 신라양식이다. 한계사지에 남아 있는 남 삼층석탑과 북쪽 언덕 위에 세워진 북 삼층석탑(보물)도 신라 후기의 양식이다. 남 삼층석탑은 동부산장을 지으면서 임의로 옮겨 놓았던 것을 발굴 조사하며 원위치에 다시 세웠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