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신] 한국의 여신들
상태바
[산신] 한국의 여신들
  • 노승대
  • 승인 2021.11.24 16: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고달픈 중생 품는 모성의 여신들
경남 산청 천왕사에 모셔진 마고할미. 사진 유동영.

모계사회 상징하는 빌렌도르프의 비너스

1908년 오스트리아 도나우 강변의 빌렌도르프 구석기 유적지에서 고고학자 조지프 촘바시(Josef Szombathy)가 나체의 돌조각상 하나를 찾아냈다. 높이가 11.1cm밖에 안 되는 작은 여자 조각상이었다. 커다란 유방이 쳐져 있고 배가 불룩했으며 허리가 매우 굵고 성기가 강조돼 있었다. 얼굴은 머리카락인지 무엇인지 확실히 알 수 없는 것으로 감싸고 있어 알아볼 수 없었다. 연대 측정 결과 2만 2,000년에서 2만 4,000년 전에 만들어진 조각상으로 밝혀졌다.

이 조각상에 대한 학자들의 견해는 다양했다. 하지만 대체로 이 조각상이 풍요와 다산을 상징하며, 그것을 빌기 위한 신상이나 부적이라고 보았다. 선사시대 인류가 생각하던 이상적 여성상이라고 해서 ‘빌렌도르프의 비너스’라는 별명이 붙었다. 이후 프랑스, 터키, 러시아 등 유라시아 지역 19곳에서 이와 비슷한 조각상 200여 점이 발견됐다.

수렵과 채취로 살아가던 구석기시대에 왜 이러한 조각상을 만들었을까? 구석기시대는 모계 중심 사회였다. 모계 중심 사회는 무리 지어 생활하는 동물 중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사자와 코끼리, 하이에나 무리가 대표적이다.

무리 지어 생활했던 인류도 모계 중심 사회였다. 남성은 사냥을 나갈 때마다 위험에 노출됐고 영영 돌아오지 못하는 경우도 많았다. 아이의 사망률도 높았다. 병이 들면 바로 죽음이었다. 무리의 숫자를 회복하려면 여성의 역할이 절대적으로 필요했다. 자연스럽게 모계 중심 사회가 정착됐다. 

모계 중심 사회는 1만여 년 전 시작된 신석기시대에도 유지됐다. 원시 농경과 목축이 시작됐지만, 생산량이 적었다. 종족의 숫자를 늘리는 일은 여성의 몫이었기 때문에 여성이 계속 무리를 통솔했다. 차츰 농경과 목축이 활성화되면서 날씨의 중요성이 두드러졌고, 이미 주도권을 가진 여성이 사제 역할도 담당하게 됐다.

1979년 중국 요녕성(遼寧省) 홍산(紅山)에서 흙으로 빚은 여성 나체상 2점이 발견됐다. 제작 연대는 5,000년 전으로 알려졌다. 유라시아 비너스상들과 형태나 상징 면에서 일맥상통한다는 데에 이의가 없었다. 발견된 시대나 지역은 달라도 조각상이 풍요와 다산을 상징한다는 점에서 같은 문화 현상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여성 나체 조각상은 1974년 한국 울산 신암리에서도 출토됐다. 높이 3.6cm에 지나지 않지만 다른 비너스상에 비해 훨씬 여성스럽고 사실적이어서 ‘신암리 비너스’라고도 부른다. 일본 아이누족 유적지에서도 같은 종류의 조각상이 발견됐다. 모두 모계 중심 사회였던 신석기시대에 만들어진 조각상이다. 1983년에는 홍산 우하량(牛河梁)에서 여신묘(女神廟, 여신상을 모신 신전)가 발견됐고, 사람 키 높이의 앉아 있는 여신상도 출토됐다.

고대 사람들은 대지의 신이 여성이라고 생각했다. 여성이 아이를 출산하고 양육하듯 대지가 만물을 길러내기 때문이다. 이렇게 대지의 풍요와 여성의 생식능력이 결부된 신격을 지모신(地母神)이라 부른다. 지모신 신앙은 농경사회의 대표적인 신앙이다. 그래서 지모신은 어느 문화권에나 존재한다. 그리스의 가이아, 이집트의 이시스, 인도의 프리티비, 잉카의 파차마마 모두 지모신이다.

신석기시대 말기와 청동기시대에는 농기구의 발달로 잉여 농산물이 늘어났다. 그러면서 인구가 증가했고 씨족사회는 부족사회로 전환됐다. 부족 간 알력이 생기며 전쟁이 발생하자 남성들은 부족을 이끄는 주도권을 차지하게 됐다. 모계 사회는 점차 부계 사회로 바뀌어 갔다. 자연히 여성신도 남성신으로 바뀌었다. 이러한 사실은 단군신화에도 드러난다. 고조선을 이끌던 단군이 죽어서 구월산의 산신이 됐다는 기록이 그것이다. 신라의 석탈해도 죽어 토함산의 산신이 됐다. 하지만 기록으로 남아 있는 산신은 여산신이 주류를 차지하고 있다.

한반도는 산악이 많은 지형이다. 그래서인지 우리 민족은 전통적으로 산을 신성시해 왔고, 그 산에 좌정하고 있는 산신이 지모신처럼 여성이라고 믿었다. 중생의 아픔을 보듬고 치료해 줄 산신은 자애로운 할머니처럼 따뜻하고 푸근한 모습을 갖추어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