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주선사어록 강설上,下
상태바
대주선사어록 강설上,下
  • 대주혜해 선사 외
  • 승인 2013.05.29 15: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주선사어록 강설上,下
저작·역자 대주혜해 선사,한암대원 선사 정가 50,000원
출간일 2013-05-28 분야 경전
책정보 상권 양장본 | 520쪽 | 235*165mm | 1005g | ISBN(13) : 9788974790349 하권 양장본 | 280쪽 | 235*160mm | 605g | ISBN(13) : 9788974790356
구매사이트
교보문고
Yes24
인터파크
알라딘
책소개 위로
한국불교의 근간!!
지금, 여기에 살아 있는 돈오선(頓悟禪)의 정맥(正脈)

간화선의 기치를 내걸고 있는 한국불교!
그 뿌리는 돈오(頓悟)에 있고,
돈오는 여기 대주혜해 선사의 어록집에서 출발한다.
저자소개 위로
▸ 저자 : 대주혜해(大珠慧海) 선사
8세기 무렵 생존했던 당나라의 선승이다. 건주(建州) 사람으로, 속성은 주(朱) 씨이고, 대주(大珠) 화상 또는 대주혜해(大珠慧海)라고 불렸다. 월주(越州) 소흥(紹興) 대운사(大雲寺) 도지(道智) 법사를 따라 출가하여, 처음에는 경교(經敎)를 배워 깨달은 바가 있었다. 나중에 여러 지방을 다니다가 마조도일 선사를 참알했다. 마조 선사가 “네 집의 보배창고를 돌아보지 아니하고 집을 버리고 어지러이 돌아다니니 무엇을 하겠느냐?”고 한 말에 본성을 깨달아 6년 동안 마조를 섬겼다. 월주로 돌아가 「돈오입도요문론」 1권을 지었는데, 마조 선사가 이를 보고 “월주에 큰 구슬이 하나 있는데 참으로 둥글고 밝아서 그 빛이 자유자재로 비친다.”라고 말한 데서 대주(大珠) 화상이라는 별칭이 생겼다. 상․하 2권으로 된 󰡔대주선사어록󰡕에 「돈오입도요문론」과 「제방문인참문」이 전해진다.

▸ 강설 : 한암대원(閒庵大元) 선사
1958년 경북 상주 남장사로 출가하여 혼해, 고봉, 석릉, 관응, 호경 스님 등으로부터 일대시교를 이수한 후 혼해混海 스님에게서 전강을 받았다. 그 후 상원사, 동화사, 해인사, 불국사, 통도사 등 전국 제방선원에서 정진하였고, 고암古庵 스님으로부터 전법을 받았다. 1986년 옛 제석사帝釋寺 터에 학림사鶴林寺를 세우고 납자를 위한 오등선원五燈禪院과 일반 불자들을 위한 시민선방을 열어 현재 선불교 대중화에 진력하고 있다. 2010~2011년에는 전국 수좌회 수석대표를 역임하였다.
목차 위로
▸ 상권 차 례

004 대주선사어록 강설에 부쳐
006 머리말

010 서
014 만금의 서
021 대주선사어록원서

돈오입도요문론
033 一. 선정으로 돈오하다
061 二. 본래 마음
074 三. 평상심이 도
090 四. 자성청정의 자리
097 五. 유무를 보지 않는다
107 六. 본다고 하는 성품
117 七. 소리를 듣는 자
132 八. 돈오문의 종宗과 체體
148 九. 성인의 행
152 十. 지음이 없는 눈
160 十一. 육바라밀의 으뜸
186 十二. 세 개의 문
201 十三. 머무르지 않는 마음
233 十四. 일상에서의 화두
237 十五. 다섯 가지 법신
244 十六. 등각과 묘각
250 十七. 경멸당하고 장애가 생길 때
260 十八. 지혜로 묘용을 쓰다
274 十九. 뜻을 얻으니 말이 끊어진다
279 二十. 여우를 사자인 줄 알고
284 二十一. 보는 것으로 볼 수 없는 것
288 二十二. 다하되 다할 수 없는 법문
293 二十三. 나지 않고 멸하지 않고
295 二十四. 참부처님의 아들
298 二十五. 부처님이 먼저인가 법이
먼저인가?
301 二十六. 설통과 종통
305 二十七. 이르고 이르렀다는 것
314 二十八. 끝없이 쓸 수 있는 유위
321 二十九. 지옥은 있는가?
323 三十. 불성도 지옥에 가는가?
328 三十一. 흐름을 따르되 머무르지 말라
339 三十二. 부처님을 볼 수 있다면
342 三十三. 부처를 여의지 않는 자리
344 三十四. 머리를 돌이켜서 보라
351 三十五. 중도와 양변
353 三十六. 오욕의 독
359 三十七. 속지 않는 법
374 三十八. 육념이 없어야 참생각
438 三十九. 일대사를 마치지 못하는 고통
465 四十. 깨끗한 마음
477 四十一. 이 몸을 끌고 다니는 것
482 四十二. 활발발한 안목
486 四十三. 어떻게 도를 얻습니까?
493 四十四. 이름하여 필경공
495 四十五. 진여의 정
503 四十六. 이것도 저것도 다 아니다
515 四十七. 수기를 얻을 수 있는가

518 노력하고 노력하라


▸ 하권 차 례

004 대주선사어록 강설에 부쳐
006 머리말

제방문인참문
016 서
019 스승을 찾는 길
023 一. 바로 쓰고, 바로 행하라!
035 二. 무엇이 의심하는가
037 三. 사자처럼 사는 것
044 四. 무한하게 쓰는 마음
052 五. 화두를 관하는 힘
059 六. 제대로 잠자는 사람
061 七. 바로 보라!
074 八. 흔적이 남지 않는다
080 九. 자연히 일 없는 사람이 되다
087 十. 만 가지 변화의 근본
108 十一. 죽이고 살리는 법
115 十二. 불교, 유교, 도교가 같습니까,
다릅니까?
116 十三. 다만 알지 못한다
123 十四. 일체 시비에 걸리지 않는다
130 十五. 성품을 본 자
133 十六. 어떻게 법희선열식을 얻습니까?
144 十七. 경전에 없는 말
149 十八. 한 마디도 설한 바 없다.
154 十九. 천 리 만 리 어긋난 길
163 二十. 본래의 공부로 이끄는 방편
177 二十一. 반야의 칼
179 二十二. 둘이 아닌 법문
184 二十三. 오직 이 공부뿐
194 二十四. 무법가설
197 二十五. 송장이 부처인가
200 二十六. 영험과 신통
203 二十七. 한 마음이 청정하면 온 세계가
청청하다.
207 二十八. 달팽이 뿔과 허공의 누각
211 二十九. 부처님의 신통
220 三十. 현전에 마음을 통하면 만법이
한 때
224 三十一. 해탈을 구할 것이 없다.
230 三十二. 마음을 가지고 마음을 쓰다
234 三十三. 생각하는데서 이루어진다
237 三十四. 말이 미치지 못하는 곳
240 三十五. 허공꽃과 물 속의 달
248 三十六. 깨달아야 알 수 있다.
254 三十七. 다만 자세히 살펴보아라.
262 三十八. 마음과 중생과 부처가 하나
272 三十九. 마음이 마음 아닌 도리
274 四十. 필경 본래 무엇인고?

277 대주선사어록 후서
상세소개 위로
그 첫 장면은 마조도일 선사와의 만남으로 시작한다.
여느 수행자들처럼 깨달음의 길을 묻는 대주 스님을 마조 선사는 이렇게 호통 친다.
“제 집의 보장은 돌아보지 않고 내돌아다니면서 무얼 하려느냐?(自家寶藏不顧 抛家散走作什麽)”대주 스님은 그 언하(言下)에 깨닫는다. 부처님이 연꽃 한 송이를 들자 가섭 존자가 미소를 지은 경지, 가히 목격이도존(目擊而道存)의 경지가 펼쳐진 것이다. 󰡔대주선사어록󰡕의 곳곳에서 번득이는 선기(禪機)와 함께 과연 깨달음은 무엇이며 어떻게 도달할 수 있는가를 느낄 수 있다.
이러한 󰡔대주선사어록󰡕은 불교계 큰스님이라면 누구라도 눈여겨 볼만한 주요 텍스트이다. 때문에 이미 여러 분의 큰스님들이 해설 또는 주석을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이번에 다시 세상을 향해 나오는 󰡔대주선사어록󰡕은 우리 시대 선문(禪門)의 적통(嫡統)이라 할 수 있는 한암대원 선사의 재해석이 받침하고 있기에 이제껏 나온 󰡔대주선사어록󰡕 강설집의 총결판이라 할 만하다.
대부분의 선사 어록이 입적한 뒤 일정 시간이 지나 후세인들에 의해 모아지고 편집된 데 비해 이 책은 대주 선사 자신이 직접 집필한 까닭에 오류나 가필의 위험에서 자유로운 큰 장점이 있다. 더구나 책의 서두에서 밝히고 있는 바와 같이 대주 스님은 마조도일 선사의 제자이며, 이 책은 그 두 분이 살아 있을 때 저술되었고, 마조 선사로부터 극찬의 인가를 받은 책이다.
󰡔대주선사어록󰡕은 그리 길지 않다. 더구나 한 편 한 편이 독립되어 있어 어느 쪽을 펼쳐서 보더라도 문맥이 엉키지 않고, 그 자체로 완결되어 있다. 그러면서도 전체적인 맥락이 흐트러지지 않았으며, 간결한 문장 속에 깨달음에 이르는 정수(精髓)가 그대로 드러나 있다.
󰡔대주선사어록󰡕은 사상적으로 남종선인 하택신회의 선사상을 계승한다. 따라서 대주 선사는 돈오선(頓悟禪) 사상의 영향을 크게 받아 어록집에서 주요 키워드로 제시해 보이고 있는 돈오(頓悟)의 관점에서 깨달음의 길을 명확하게 제시하고 있다.

이 책에서 우리 시대의 선승, 한암대원 선사는 말한다.
“목전에 일어나는 마음을 아는 것, 그것은 공부의 시작입니다. 거기서 다시 의심하여 나아가야 합니다.”

선 수행의 핵심은 가르침을 이끌어 줄 수 있는 선지식에 있다. 더구나 ‘단박 깨달음’이라는 돈오 수행은 스승의 가르침이 없으면 위험하기 그지없는 난행이 아닐 수 없다. 수행 과정의 곳곳에 도사리고 있는 유혹과 오판으로부터 누구도 자유롭기 어렵기 때문이다. 한암대원 선사의 『대주선사어록 강설』은 그런 점에서 수행의 갈림길에서 헤매는 많은 수행자들에게 매우 요긴한 지침이 될 것이다.
책속으로 위로
공부를 하다가 어떤 경계가 나타나면 근기가 미약한 사람은 백이면 백 모두 그것에 속게 되어 그 엄청난 기운의 희열, 기쁨에 춤을 추고 날뛰게 되는데, 이것을 바로 잡아주는 데에 선지식이 필요합니다.
화두를 참구하다가 뭐가 환히 보이지 않나, 얼른 깨달아지지 않나, 경계가 나타나지 않나 하는 생각을 하고, 의식적으로 표가 있기를 바라면 그 사람은 공부가 나아가지 못합니다. 전혀 표시가 없어야 합니다. 점점 해나갈수록 아는 것도 다 없어지고 깜깜해져야 됩니다. 만약 아는 것이 조금씩 나타난다면 그 사람은 아는 것에 취해서 다시는 더 나아갈 길이 없고 거기에 떨어지게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공부하는 사람은 서울에 도착할 때까지는 본 것도 없고, 표도 없어야 한다는 말입니다.---p.53

망상인 줄 알았을 때 망상인 것을 아는 그놈을 퍼뜩 순간 포착으로 되잡아서 ‘이놈이 무엇이냐’ 하고 더욱 강한 의심을 불끈 일으키라는 것입니다. 그러면 생각과 망상을 따라가지 않습니다. 거기에서 애를 쓰면 바로 힘을 얻습니다. 이것을 회두관조回頭觀照라고 합니다. 머리를, 즉 생각을 되돌려서 비춰보라는 말인데, 목전에 일어나는 망상 등 모든 것을 보고 아는 이놈을 되돌려 잡아 ‘무엇일까’, 눈앞에 일어나는 시비와 양변 모든 것을 보는 이놈은 과연 ‘무슨 물건인가’ 되돌려 물어보면 거기서 깨달음이 있습니다.---p.218-219

관법이나 염불이나 주력이나 진언을 하여 업장 소멸이 안 되는 것은 아닙니다. 그런데 업장이 소멸되는 동시에 팔식 경계에 들어가서 나오는 알음알이 속에 스스로 집을 짓고 들어가게 됩니다. 스승이 없으면 100% 속게 되어 있습니다. 그 희열, 기쁨으로 인해 넘치는 것과 보이는 것과 모든 곳에서 자기가 감당할 수 없는 데에 이르는데 어떻게 할 것이냐 이것입니다. 속수무책이라, 그것 가지고 살게 됩니다. 그러니까 공부하는 참선지식을 만나야, 비로소 그놈을 부수고 본래 아무것도 없는 데로 돌아가는 것입니다. 과연 이놈이 무엇인가? 하고 공부를 해야 됩니다.
언론사 서평 위로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