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차제선문(譯註 次第禪門)
상태바
역주 차제선문(譯註 次第禪門)
  • 최기표
  • 승인 2010.03.09 11:0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11 대한민국 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역주 차제선문(譯註 次第禪門)
저작·역자 천태 대사 지의,최기표 정가 35,000원
출간일 2010-03-09 분야 수행
책정보 수행/선/신국판양장본/436면
구매사이트
교보문고
Yes24
인터파크
알라딘
책소개 위로
『역주 차제선문』은 석가모니 부처님 이래 행해진 각종 선정의 종류와 수행방법, 수행 중에 일어나는 여러 현상과 그 대처법 등을 모두 망라하여 소개한다. 또한 여러 경전과 논서에 기록된 불교 수행법을 체계적으로 조직하고 천태 대사 자신의 체험을 덧붙여 구체적이면서 실제적인 내용을 담았다.
저자소개 위로
* 천태 대사 지의(智顗 ; 538~597) 說
중국의 위진 남북조 말기에서 수 통일기에 걸쳐 활동한 천태종의 실질적인 개창조로서 천태 대사(天台大師) 혹은 지자 대사(智者大師)라는 호로 불린다. 호남성 화용현에서 태어났으며 속성은 진(陳)씨이다. 18세에 출가하였고, 23세 되던 해에 높은 수행력으로 명성을 떨치던 광주(光州) 대소산(大蘇山)의 혜사(慧思) 선사를 찾아가 치열하게 수행하였다. 그 결과 30세에 초선다라니를 증득하고 스승에게서 “법을 설하는 사람 가운데 제일이 될 것”이라는 칭찬을 들었다. 스승의 예언대로 지의는 최고의 설법을 통해 당시 불교계를 평정하고 진(陳)과 수(隋)의 황제에게 국사(國師)의 예로 존경을 받았다. 지의의 법문은 특히 교판론, 법화경의 해석 그리고 수행론에 있어서 으뜸이었다. 법화경, 유마경, 금광명경, 대지도론 등의 경론에 대한 해설서가 전해지고, 법화현의(法華玄義), 법화문구(法華文句), 마하지관(摩訶止觀)은 천태 삼대부(天台三大部)라고 불리며 그 영향력이 매우 크다. 차제선문, 소지관 등의 수행 관련서들도 후대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장안 대사 관정(灌頂 ; 561 ~632) 整理
절강성(浙江省)의 장안(章安) 출신으로 장안 대사라고 불리며 속성은 오(吳)씨이다. 7세에 출가한 뒤 23세에 천태산으로 들어가 천태 대사의 문하에서 수행하였다. 천태 대사가 입적할 때까지 시자(侍者)로서 섬기면서 스승의 법문 대부분을 기록하여 책으로 남겨 천태종의 제5조로 추앙된다. 현재 전하는 차제선문은 지의가 설한 것을 제자 법신(法愼)이 30권 분량으로 받아 적었는데, 이를 전해 받은 관정이 10권 분량으로 다듬은 것이다. 그가 찬술한 수천태지자대사별전(隋天台智者大師別傳)과 천태 대사와 관련된 여러 글을 모아 편집한 국청백록(國淸百錄)은 천태 대사 연구의 1차 자료로서 가치가 높다.

* 최기표(崔箕杓) 譯註
금강대학교 불교/복지학부 교수. 숭실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한 뒤 동 대학원에서 유가와 도가를 공부하였고, 동국대 대학원 불교학과에서 「천태 점차지관(漸次止觀)의 수행체계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법화경과 천태학, 불교수행론이 주된 연구 주제이다. 공역서로 천태 대사의 생애(시대의 창, 2006)가 있고, 「무색정(無色定)의 연구」, 「지관(止觀) 수행의 실제」, 「기신론소(起信論疏)에 나타난 천태지관론」, 「법화경 해석에 있어서 몇 가지 문제」, 「천태종의 관음주송과 그 이론적 토대」, 「법화경에 나타난 신앙의 해석학적 고찰」등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목차 위로
● 차례

해 제_ 005
서문_ 033

석선바라밀차제법문 권1(上)
1. 선바라밀 수행의 대의(大意)_ 041
1.1. 잘못된 것을 가려냄_ 042 ┃ 1.2. 보살의 선정_ 043
2. 선바라밀의 이름 풀이_ 049
2.1. 공통의 이름과 공통되지 않은 이름의 구별_ 049
2.2. 번역_ 050 ┃ 2.3. 요간(料簡)_ 054
3. 선바라밀에 들어가는 문_ 057
3.1. 선의 문_ 057 ┃ 3.2. 해석_ 058 ┃ 3.3. 요간(料簡)_ 062

석선바라밀차제법문 권1(下)
4. 선바라밀을 수행하는 차례_ 065
4.1. 선정의 차례_ 065
4.2. 비차제(非次第)를 간별함_ 070
5. 선바라밀의 법과 마음_ 072
5.1. 법의 분별_ 072
5.2. 마음의 분별_ 074
5.3. 법과 마음의 요간_ 076

석선바라밀차제법문 권2
6. 선바라밀의 전방편 (1)_ 085
6.1. 선정에 들기 위한 방편[外方便]_ 086
6.1.1. 다섯 가지 인연을 갖춤_ 086
6.1.2. 오욕을 가책함[訶五欲]_ 104
6.1.3. 오개(五蓋)를 버림_ 107
6.1.5. 다섯 가지 법을 행함_ 122

석선바라밀차제법문 권3(上)
6. 선바라밀의 전방편 (2)_ 131
6.2. 선정 중의 방편[內方便]_ 131
6.2.1. 지문(止門)_ 133
6.2.2. 선·악 근성의 증험_ 144

석선바라밀차제법문 권3(下)
6. 선바라밀의 전방편 (3)_ 159
6.2.2.1.3. 허와 실을 알아냄_ 159 ┃ 6.2.2.1.4. 일정하지 않게 발현하는 선정의 분별_ 168

석선바라밀차제법문 권4
6. 선바라밀의 전방편 (4)_ 181
6.2.2.2. 악근의 증험_ 181
6.2.3. 편안한 선정을 택하는 법_ 200
6.2.4. 병을 치료하는 것_ 202
6.2.5. 마사(魔事)를 깨닫는 것_ 208

석선바라밀차제법문 권5
7. 선바라밀의 수증 (1)_ 219
7.1. 세간선의 수증_ 219
7.1.1. 사선(四禪)_ 219
7.1.1.1. 초선_ 220 ┃ 7.1.1.2. 제2선_ 244
7.1.1.3. 제3선_ 251 ┃ 7.1.1.4. 제4선_ 257

석선바라밀차제법문 권6
7. 선바라밀의 수증 (2)_ 265
7.1.2. 사무량심(四無量心)_ 265
7.1.3. 사무색정(四無色定)_ 287
7.1.3.1. 공처정(空處定)_ 288 ┃ 7.1.3.2. 식처정(識處定)_ 294
7.1.3.3. 무소유처정(無所有處定)_ 298 ┃ 7.1.3.4. 비유상비무상처정(非有想非無想處定)_ 300

석선바라밀차제법문 권7
7. 선바라밀의 수증 (3)_ 309
7.2. 역세간역출세간선(亦世間亦出世間禪)의 수증_ 309
7.2.1. 육묘문(六妙門)_ 310
7.2.2. 십육특승(十六特勝)_ 317

석선바라밀차제법문 권8
7. 선바라밀의 수증 (4)_ 337
7.2.3. 통명관(通明觀)_ 337

석선바라밀차제법문 권9
7. 선바라밀의 수증 (5)_ 369
7.3. 출세간선(出世間禪)의 수증_ 369
7.3.1. 구상(九想)_ 371
7.3.2. 팔념(八念)_ 379
7.3.3. 십상(十想)_ 384

석선바라밀차제법문 권10
7. 선바라밀의 수증 (6)_ 397
A. 관선(觀禪)의 수행방법_ 398
7.3.4. 팔배사(八背捨)_ 398
7.3.5. 팔승처(八勝處)_ 411
7.3.6. 십일체처(十一切處)_ 417
B. 관선(觀禪)의 공능_ 424
7.3.7. 구차제정(九次第定)_ 424
7.3.8. 사자분신삼매(師子奮迅三昧)_ 429
7.3.9. 초월삼매(超越三昧)_ 430
상세소개 위로
 
책속으로 위로
 
언론사 서평 위로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