닭 우는 소리를 듣고 장부의 할 일을 마쳤다
상태바
닭 우는 소리를 듣고 장부의 할 일을 마쳤다
  • 관리자
  • 승인 2007.09.30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고승법석/청허당 휴정

조선 중기 허응당 보우 대사 이후 다시 억불 정책에 숨죽이고 있던 불교는 중흥을 일궈낼 기둥을 배출하였다. 서산(西山) 대사, 청허당 휴정은 위기의 불교를 다시 일으켰을 뿐만 아니라 임진왜란이라는 절대절명의 위기에서 조선 전체를 구해낸 태산이었다.

청허당 휴정 대사는 평안남도 안주에서 선비 최세창의 아들로 태어나 9세에 어머니를, 10세에 아버지를 여의었다. 어머니 한남 김씨의 태몽은 묘향산에서 날아온 학이었다. 본명은 여신(汝信), 아명은 운학(雲鶴)이었다. 당시 안주 목사로 있던 이사증(李思曾)의 양자로 들어가, 12세부터 성균관에 입학해 공부하였으나 15세에 과거에 낙방하였다. 지리산으로 여행을 떠났다가, 신흥사(神興寺)의 숭인(崇仁) 대사 문하로 출가하였다. 이후 부용 영관(芙蓉 靈觀) 대사를 전법사(傳法師)로, 휴옹 일선(休翁 一禪) 대사를 계사(戒師)로 모셨고, 학묵(學默) 대사 등을 찾아다니며 정진했다.

대사는 도솔산, 두륜산, 금강산 등을 다니며 수행하다가 27세 되던 해 활연대오하고, “머리 털은 희었으나 마음은 희어지지 않는 이치, 옛 분들이 다 말씀하셨도다. 이제 닭 우는 소리를 듣고서 장부의 할 일을 이미 마쳤도다.”라는 오도송(悟道頌)을 남겼다.

1552년 승과에 급제하였고, 교종과 선종의 양종판사(兩宗判事), 봉은사 주지 등을 지냈다. 1557년 묘향산, 태백산, 오대산 등지로 다니며 후학들을 가르쳤다. 1564년 금강산 백화암에서 『선가귀감(禪家龜鑑)』의 서문을 지어, 당시의 수행 풍토를 경계하고 참 수행의 길을 열어 주었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선조의 간청으로 팔도십육종 도총섭(八道十六宗 都摠攝)을 맡아 승병을 이끌고, 바람 앞의 등불인 조선을 구하는 데 큰 기여를 하였다. 1593년 제자 사명 유정에게 도총섭을 맡기고 묘향산으로 물러났다. 1604년 1월 23일, “천 가지 만 가지 생각, 붉은 화로에 내리는 한 점 눈일 뿐이로다. 진흙 소가 물 위를 걷나니 땅이 갈라지고 허공이 찢어지는도다.”라는 임종게와 전라도 해남의 두륜산 대둔사에 의발을 두라는 유언을 남기고 묘향산 원적암(圓寂庵)에서 입적하였다. 세수 85세, 법랍 70세였다.

대사의 제자는 1,000여 명에 이르렀고, 사명 유정(四溟 惟政), 편양 언기(鞭羊 彦機), 소요 태능(逍遙 太能), 정관 일선(靜觀 一禪) 등 이후 해동 불교를 이끈 기라성 같은 제자들을 두었다.

저서로는 『선가귀감』 『삼가귀감(三家龜鑑)』 『심법요초(心法要抄)』 『선교석(禪敎釋)』 『선교결(禪敎訣)』 『청허당집(淸虛堂集)』 『설선의(說禪儀)』 『운수단가사(雲水壇歌詞)』 『삼노행적(三老行蹟)』 등이 있다. 이 가운데 『선교석』은 선(禪)과 교(敎)에 대해 제자들에게 문답식으로 가르침을 편 내용으로 되어 있다. 『선교석』은 서산 대사께서 묘향산 금선대(金仙臺)에 머물고 있을 때, 행주(行珠)·유정(惟政)·보정(寶晶) 세 제자가 『금강경오가해(金剛經五家解)』를 들고 찾아와 질문을 시작하는 장면으로 시작된다. 『선가귀감』과 더불어 선 중심의 수행을 굳게 세운 저서로 평가받고 있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