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기(緣起)
상태바
연기(緣起)
  • 관리자
  • 승인 2007.09.27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주제별로 가려뽑은 경전 말씀

불교가 너무 난해한 사상과 고행을 설하는 종교라며 아예 관심조차 없다고 말하는 젊은이들이 지금의 속도로 계속 늘어난다면 현대사회에서 불교의 심원함은 이제 퇴색해 버린 이상주의자들의 꿈에 지나지 않게 될 것이다. 정작 중요한 인간과 수행, 삶을 함께 아우르는 운동보다도 옛 영광을 찬미하며 고담준론을 일삼는 지금의 현상은 역설적으로 불교가 본래 지니고 있는 창조적인 열정과 탐구의 정신이 사라지고 있다는 것을 입증한다.

우리는 지금부터라도 가장 기본적인 교리를 하나하나 깊이 있게 공부하고 부처님의 말씀이 우리가 항해하는 어두운 고해에서 길을 비추는 등대와 같은 빛을 발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우리는 불교의 인간 이해를 가장 깊이 있게 설하는 연기(緣起)의 교리 하나만이라도 제대로 공부해야 할 필요가 있다.

연기의 교법은 초기 경전에서 “연기를 보는 자 진리를 보고, 진리를 보는 자 연기를 본다(若見緣起者便見法 若見法者便見緣起).”라고 규정할 만큼 불교사상의 기초이며 그 교의적 전개가 아비달마, 화엄사상과 유식, 중관불교 등의 광범위한 영역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초기경전 『아함경』에서도 석존의 깨달음은 바로 연기의 깨달음에서 비롯되었다고 설해질 정도로 중요한 비중을 갖고 있는 교리이다.

--------------------------------------------------------------------------------

비구들이여, 연기(緣起)의 법이란 무엇인가? 생(生)의 연(緣)으로부터 노사(老死)가 있다. 이 법은 여래의 출세와 불출세와 상관없이 인간 존재의 영원한 법칙이자 확법이며, 여래는 연기의 법을 깨닫고 이를 설하고 교시하여 명료하게 하였다. 그러므로 그대들도 보라. 생을 연하여 노사(老死)가 있고,… 이와 같이 진여성(眞如性)·불허망성·상의성(相依性)인 것을 연기의 교법이라고 한다.

남전 상응부,한역 『잡아함경』12

인연(因緣)이라는 말은 누구에게나 친숙하다. 그러나 인연이란 무엇일까? 물론 인(因)이란 결과를 낳기 위한 직접 원인이고 연(緣)이란 외부적 조건이나 환경을 이루는 보조 원인이다. 좀 더 단순하게 말한다면 우리에게 인연이란 어감은 그저 선연(善緣)이건 악연(惡緣)이건 자신과 관계를 맺는 연줄, 연분으로 다가온다. 그러므로 연기교법의 전제인 ‘인과 연으로 일어나는 것(因緣生起)’은 ‘이것이 있을 때 저것이 있고, 이것이 일어날 때 저것이 일어난다’라는 상의상관성(相依相關性)에서 출발한다. 그러나 불교에서 말하는 인연·인과·연기는 좀더 이와 같은 존재의 상의상관성에 대한 논리적 이해의 차원을 넘어 우리의 내면에 담긴 ‘인간이란 무엇인가?’라는 화두에 답변하고 있다. 그것은 바로 거북이가 등에 짊어지고 있는 단단한 껍질처럼 무거운 숙업을 짊어지고 사는 인간, 번뇌하는 인간에 대한 물음이기도 하다. 먼저 여기에 12연기를 적어둔다. 무명(無明, avijja : 迷妄·근본적인 無知) - 행(行, sankhra : 잠재의지, 맹목적인 의지) - 식(識, vijnana : 분별의식, 六識) - 명색(名色, nama-rupa : 인식의 대상, 명칭과 형태) - 육입(六入, salayatana : 六根, 眼耳鼻舌身意) - 촉(觸, phassa : 접촉) - 수(受, vedana : 感受) - 애(愛, tanha : 愛執, 葛藤) - 취(取,upadana : 집착, 소유의지) - 유(有, bhava : 개체, 윤회의 생존) - 생(生, jati : 유한한 생명으로서 실존) - 노사(老死, jara-marana : 고뇌, 죽음)

이것이 있으면 저것이 있고, 이것이 생기면 저것이 생긴다. 무명(無明)으로 말미암아 행(行)이 생긴다. 행으로 말미암아 식(識)이 생긴다. 식으로 말미암아 명색(名色)이 생긴다. 명색으로 말미암아 육입(六入)이 생긴다. 육입으로 말미암아 촉(觸)이 생긴다. 촉으로 말미암아 수(受)가 생긴다. 수로 말미암아 애(愛)가 생긴다. 애로 말미암아 취(取)가 생긴다. 취로 말미암아 유(有)가 생긴다. 유로 말미암아 생(生)이 생긴다. 생으로 말미암아 노사(老死)가 생기고 우수·슬픔·고통·우울·고뇌가 생긴다. 이 모든 고(苦)의 일어남은 이와 같다.

이것이 없으면 저것이 없고, 이것이 사라지면 저것이 사라진다. 무명(無明)이 사라지면 행(行)이 사라진다. 행이 사라지면 식(識)이 사라진다. 식이 사리지면 명색(名色)이 사라진다. 명색이 사라지면 육입(六入)이 사라진다. 육입이 사라지면 촉(觸)이 사라진다. 촉이 사라지면 수(受)가 사라진다. 수가 사라지면 애(愛)가 사라진다. 애가 사라지면 취(取)가 사라진다. 취가 사라지면 유(有)가 사라진다. 유가 사라지면 생(生)이 사라진다. 생이 사라지면 노사(老死)가 사라지고 우수·슬픔·고통·우울 ·고뇌가 사라진다. 이 모든 고(苦)의 사라짐은 이와 같다.

*남전 『무문자설(無問自說 ; udana)』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