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붓다의 가족] 아버지 숫도다나왕
상태바
[붓다의 가족] 아버지 숫도다나왕
  • 유근자
  • 승인 2024.04.26 17: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불전미술에 나타난 정반왕
[도판 1] 네팔 틸라우라코트에 있는 정반왕과 마야 왕비의 무덤으로 추정되는 
유적(2023년 2월 촬영), 사진 이상원 

석가모니불의 아버지 숫도다나는 정반왕(淨飯王)·백정왕(白淨王)·진정왕(眞淨王) 등으로 번역됐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정반왕이 가장 널리 사용됐다. 석가모니불의 가계는 중국 양나라(502~557) 때 승우(僧祐) 스님이 지은 『석가보(釋迦譜)』에 자세히 전한다. 석가모니불의 할아버지는 네 명의 아들을 낳았는데 첫째 아들은 정반왕, 둘째 아들은 백반왕, 셋째 아들은 곡반왕, 넷째 아들은 감로반왕이었다.

석가모니불은 도솔천에 계실 때 태어날 곳을 찾다가 성품과 행실이 어진 정반왕을 아버지로, 온화하고 어진 성품의 마야를 어머니로 정하고 흰 코끼리의 모습으로 내려와 어머니의 태 속에 들어갔다. 정반왕이 석가모니불의 일대기에 등장하기 시작한 것은 바로 어머니 마야의 꿈을 해석하는 장면에서부터다.

석가모니불이 주인공인 불전미술(佛傳美術, 석가모니의 생애를 표현한 그림·조각 등)에서 아버지 정반왕과 어머니 마야가 나란히 표현된 것은 태몽을 해석하는 장면이 유일하다. 이 장면과 연관된 유적이 네팔의 틸라우라코트(Tilaurakot)에 남아 있는 무덤이다. 틸라우라코트는 석가모니불의 탄생지 룸비니 사원에서 북서쪽으로 25km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이곳은 네팔 쪽에서 주장하는 석가모니불의 고향인 카필라바스투(까삘라왓투)이고, 인도에서는 우타르프라데시주(州)에 있는 피프라와를 카필라바스투라고 주장한다. 두 지역의 거리는 16km인데 틸라우라코트에는 카필라 성의 성곽 유구가 잘 남아 있고, 피프라와에는 석가모니불의 사리와 사리를 봉안했던 탑 유적이 잘 남아 있다. 

틸라우라코트 북쪽 성벽이 잘 남아 있는 곳에서 약 400m 떨어진 곳에 두 개의 탑이 있다. 큰 탑(직경 약 16m)은 아버지 정반왕, 작은 탑(직경 약 8m)은 어머니 마야 왕비의 무덤으로 추정된다[도판 1]. 두 탑은 성 밖에 위치해 싯다르타 태자가 출가 전에 동남서북 네 문밖으로 나가 세상을 관찰한 ‘사문유관(四門遊觀)’을 기념하기 위해 세운 탑이라는 설도 있다.

 

싯다르타의 태몽과 해몽

석가모니불의 생애를 표현한 인도 불전미술에서 정반왕은 싯다르타 태자의 태몽 해석, 관상, 첫 명상 장면에 등장해 아버지의 역할이 강조됐다. 이와 달리 중국 불전미술 속 정반왕은 임종을 앞두고 아들인 석가모니불에게 위로를 받는 장면이 남아 있다. 인도인들은 정반왕을 아버지로서 주로 등장시켰다면, 중국인들은 나이 든 부모 정반왕을 봉양하는 아들 석가모니불의 역할을 강조한 면이 있다.

마야 왕비는 흰 코끼리가 오른쪽 옆구리로 들어오는 꿈을 꾼 뒤 남편 정반왕에게 꿈을 풀이해 줄 것을 요청했다. 정반왕은 관상을 잘 보는 바라문에게 해몽을 청했다. 태몽을 전해 들은 바라문은 “태 안에 든 아들은 석가족을 빛나게 할 것이다. 태 안에 내려올 때 여러 천신이 에워싸고 왔기 때문에 깨달음을 얻을 징조다. 그러나 출가하지 않는다면 전륜성왕이 될 것이다”라고 이야기했다.

간다라 불전미술 가운데 <해몽> 장면은 <태몽>과 함께 구성됐다[도판 2]. 화면 오른쪽에는 왼쪽 옆구리를 침상에 대고 등을 보이고 누워있는 마야 왕비가 중앙에 있고, 좌우에는 그녀를 보호하는 무기를 든 두 명의 여인이 서 있다. 밤을 상징하는 등불이 마야 왕비의 얼굴 앞에 놓여 있고, 도솔천에서 내려오는 흰 코끼리는 신성함을 상징하는 원 안에 표현됐다. 

향좌측에는 정반왕, 꽃을 든 마야, 수염을 기른 바라문이 앉아 있다. 바라문은 긴 머리카락과 수염 그리고 오른쪽 어깨를 드러낸 수행자 모습을 하고 있다. 중앙에 앉은 정반왕은 머리에 터번을 쓰고 귀걸이와 목걸이를 했으며, 상체를 노출한 채 왼쪽 어깨에 옷자락을 걸치고 있다. 간다라 불전미술에 표현된 신분이 높은 인물들의 전형적인 차림새다. 정반왕은 바라문에게 꿈 해석을 듣고 있으며, 마야 부인 역시 두 사람의 대화에 귀를 기울이고 있다.

간다라 불전미술 속 정반왕의 모습이 가장 잘 표현된 것으로는 파키스탄 라호르박물관에 소장된 <해몽>을 들 수 있다[도판 3]. 정반왕은 영화의 주인공처럼 화려한 등받이와 발 받침대가 있는 의자에 두 다리를 교차한 채 앉아 있다. 머리 위에 있는 햇빛 가리개 일산(日傘)과 좌우 두 시녀가 든 불자(拂子)는 왕을 상징하는 물건이다. 좌우 손에 물병을 든 두 인물은 꿈을 해석하는 바라문 수행자다.

남인도 나가르주나콘다 절터에서 수습된 탑을 장식한 석판 가운데 석가모니불의 탄생 전후에 일어난 네 가지 사건이 새겨진 작품이 있다[도판 4]. 석가모니불의 탄생 전후 이야기는 아래부터 ‘태몽의 해석’(하단) → ‘탄생’(중단) → ‘관상과 사당 참배’(상단) 등으로 전개된다. ‘태몽의 해석’, ‘탄생’, ‘관상’, ‘사당 참배’ 네 가지 에피소드 중 정반왕은 태몽의 해석 장면과 싯다르타 태자의 관상을 보는 장면에서 등장한다.

남인도 나가르주나콘다 불탑을 장식했던 ‘도판 4’의 아래쪽에 표현된 해몽(태몽의 해석) 장면[도판 5]은 간다라 불전미술과 많은 차이점이 발견된다. 단순한 등장인물로 구성된 간다라 해몽 장면과 달리 남인도 해몽 장면은 정반왕, 마야 왕비, 바라문뿐만 아니라 제석천과 사천왕을 비롯한 천신 등 등장인물이 많다. 많은 등장인물과 함께 인물의 표현 방식 역시 간다라의 표현법과는 다르다.

간다라 해몽 장면의 정반왕과 마야 왕비 그리고 바라문 수행자는 두꺼운 천으로 된 옷을 입고 있다. 그러나 남인도 해몽 장면의 인물상은 대부분 신체를 노출시켜 인체의 양감을 강조했다. 남인도 해몽 장면 속 정반왕은 보석으로 장식된 터번을 쓰고, 다양한 장신구로 몸을 장식했으며, 상의는 벗은 채 하체에만 짧은 치마를 입었다. 인도 미술 속 왕의 모습은 등받이가 있는 의자에 앉아 왼손을 허리에 대고, 한쪽 다리를 아래로 내리거나 가부좌를 하고 앉은 자세가 보편적이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