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 속이는 중노릇하지 말라”던 한글 보살, 운허 스님
상태바
“마음 속이는 중노릇하지 말라”던 한글 보살, 운허 스님
  • 효신 스님
  • 승인 2024.02.22 09: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재 근현대 스님들의 수행과 사상
운허 스님

한글 보살

‘큰법당’은 대웅전을 우리말로 옮긴 한글 표기다. 이 한글 편액을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건 곳은 경기도 봉선사로, 1970년 법당 중건을 하면서 한글 불사가 이뤄졌다. 큰법당 기둥에도 “온 누리 티끌 세어서 알고, 큰 바닷물을 모두 마시고, 허공을 재고 바람 얽어도, 부처님 공덕 다 말 못 하고”(『화엄경』 보현보살 게송)의 우리말 주련이 걸려 있다.

한글 전용 시대를 사는 요즘에도 ‘큰법당’이라는 한글 편액을 건 절을 만나기는 드물다. 한자의 기세에 눌려 있던 그 시절에 봉선사가 과감한 한글 개혁을 취할 수 있었던 건, 당시 주지였던 항일투사 독립운동가 출신 운허(耘虛, 1892~1980) 스님 덕분이다. 

운허 스님은 생전 유언으로 “‘경전 읽고 번역하던 운허당 법사의 관’이라고 한글로 영정을 써 달라, 이 몇 자가 나의 생애를 다 표현할 것”이라고 신신당부할 만큼 한글 번역에 혼신의 힘을 쏟아낸 분이다. 운허 스님이 불문(佛門)에 들어와 『한글 대장경』의 중요성을 역설한 것은 그의 항일 독립투사의 체험과 무관하지 않다. 침략국인 일본에 저항하기 위해서는 민족정신의 고취가 반드시 전제돼야 하는데, 그 계몽을 위한 의식개혁의 기본 수단은 우리말글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항일 독립운동가, 교육자, 언론인이었던 운허 스님이 한글 보살로 일생을 마칠 때까지 그 정신들은 하나로 덩이져 있었다. 

 

항일 독립투사의 길, 교육불사와 언론활동

이학수라는 본디 이름에서 1962년 이북 5도청에서 ‘이운허’로 고칠 때까지 스님이 사용한 이름은 ‘이시열, 조우석-김종봉-박명하-박용하’ 등으로, 모두 일제의 추적을 피하기 위한 가명이었다. 스님은 평안북도 정주군 신안면 어호동의 유복한 전주 이씨 집안에서 태어났는데, 당시의 스님 집안 배경은 삼종형(8촌 형)이었던 춘원 이광수 『자서전』에서 엿볼 수 있다. 열한 살에 부모를 잃은 이광수는 친척 집을 전전하던 시기를 보낸 적이 있었다. 외가에서 재당숙댁(운허 스님의 집)으로 갈 때 소회를 이렇게 털어놓았다.

“우리 액내에서는 가장 잘살고 또 내가 가장 좋아하는 식구들이 사는 재당숙 집으로 간다. 이 집에는 노적도 있고, 종도 있고, 아직도 숙모들이나 누나들은 대문 밖에를 안 나오는 생활을 하고 있었다. 내 맏당숙은 사랑문을 열어 놓고 앉아서 접빈객을 하였고, 가운데 아저씨는 선생이었고, 작은 아저씨는 접장으로 서전을 읽는 새서방님이었다. 백(栢, 이학수=운허 스님)이라는 내 삼종제(8촌 동생)는 나와 동갑으로서 이 빛난 가문의 외아들로 귀염을 받고 있었고, 내 작은 재당숙들은 여자들의 청을 들어 『삼국지』나 『수호지』를 진서 책대로 조선말로 번역해 읽어 주었다. 나는 그것이 무척 부러웠다. … 내가 백을 대할 때에 제일 부러운 것은 그의 구겨짐 없이 쭉 펴인 천진난만한 성품이었다(『이광수 문학전집- 그의 자서전』(2013, sinyul)).”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