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도 중생도 다 버린 파격승破格僧, 경허 스님
상태바
부처도 중생도 다 버린 파격승破格僧, 경허 스님
  • 효신 스님
  • 승인 2023.10.30 09: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근현대 스님들의 수행과 사상]
경허 스님 진영

부처와 중생의 무경계

세간법과 출세간법은 층위와 방향이 달라 서로 만나기는 어렵다. 세간의 눈으로는 헤아리기 어려운 이치가 바로 출세간법이다. 초월의 경계를 지향하는 출세간의 언어는 때론 상식을 벗어난 말장난처럼 다가오기도 한다. 일상의 눈으로는 감당하기 힘든 모순적 삶, 언어의 유희를 일평생 즐긴 이가 있으니, 그가 바로 빈거울(鏡虛) 스님, 성우 경허(惺牛鏡虛, 1849~1912)이다.

만년에 홀연히 절을 떠나 북녘을 떠돌아다니고, 서당에서 아이들을 가르치다가 함경도 갑산 웅이방 도하동 서재에서 입적하기까지(64세, 1912년 4월 25일) 스님의 행은 세간의 잣대로는 경계 대상이었다. 이중적인 경허 스님의 모습은 해석하기 참으로 난감하나 그의 도심(道心)만큼은 부인할 수 없는 영역이다. 이런 경허 스님의 일생을 가장 압축적으로 잘 드러낸 한 편의 시가 있다. 

佛與衆生吾不識(불여중생오불식)

부처니 중생이니 나는 모른다. 

年來宜作醉狂僧(연래의작취광승)

평생을 그저 술 취해 미친 중이나 되리.

有時無事閑眺望(유시무사한조망)

어떤 때는 일없이 시선을 팔면,

遠山雲外碧層層(원산운외벽층층)

먼 산이 구름 밖에 층층이 푸르구나.

단순히 언어의 경계에서 보면 그저 술 취한 광기의 중으로 읽힐 수 있으나, 선의 경지에서 보면 경계를 초월한 도인의 마음을 노래하고 있다. “부처니 중생이니 나는 모른다”는 말은 ‘부처와 중생의 무경계’에 대한 반의적인 표현을 내포하고 있다. ‘부처도 중생도 다 버리라’는 선견(禪見)의 입장에서 알음알이를 벗어난 초월의 언어로 노래하고 있다. “어떤 때는 일없이 시선을 팔면, 먼 산이 구름 밖에 층층이 푸르다”는 스님의 심경은 “바루 하나 들고 천 가의 밥을 빌러” 다녔던 포대화상의 모습이 겹쳐지는 장면이다. 

천장암의 뱀 사건은 경허 스님의 수행력(선정의 힘, 定力)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다. 어느 여름날 밤, 상좌인 만공 스님이 등불을 들고 큰방에 들어가니 어둠 속에 경허 스님이 누워 있었다. 그런데 등불을 비추니 경허 스님의 배 위에 시커먼 독사가 똬리를 틀고 있었다. 만공 스님은 너무 놀라 “지금 스님 배 위에 독사가 앉아 있어요”라며 소리 질렀다. 경허 스님은 담담히 “실컷 놀다가 가게 그냥 내버려 둬라”며 개의치 않았다. 만공 스님은 어찌할 바를 몰라 발을 동동 굴렀는데 독사가 똬리를 스스로 풀고 스르르 배 위에서 내려와 뒷문으로 나갔다. 그제야 경허 스님은 “이런 일을 당했을 때는 적어도 마음에 조금도 동요됨이 없어야 공부가 된다”고 만공 스님을 힐책했다.

 

‘콧구멍 없는 소’

경허 스님이 참선 수행 선승으로 재발심하게 된 계기는 환속한 은사 계허 스님을 만나러 한양으로 가는 길에서 일어났다. 스님은 심한 폭풍우를 만나 비를 피하려 마을을 찾았으나, 마침 돌림병이 퍼진 마을에서는 모두 문을 걸어 잠그고 그의 청을 받아 주지 않았다. 하는 수 없이 마을 어귀 당산나무 아래에서 밤을 샜다. 이때 본인도 돌림병에 걸려 죽을지 모른다는 두려움을 느껴, 본인의 공부 수준을 자각하고는 생사 해결을 위한 재발심을 하게 됐다.

스님은 동학사로 되돌아와 먼저 학인들을 돌려보낸 후, 방문을 걸어 잠근 채 ‘나귀의 일도 가지 않았는데 말의 일이 닥쳐 왔다(驢事未去 馬事到來: ‘불법의 대의가 무엇인가?’에 대한 영운靈雲선사의 화답어)’를 화두로 간택해 정진에 들었다. 외부와의 유일한 통로는 주먹밥을 넣을 수 있도록 방문 아래 만든 구멍이었다. 졸음을 쫓기 위해 목 밑에 송곳을 꽂은 널빤지를 받쳐 놓고 그의 용맹정진이 시작됐다. 그런데 스님의 견처는 엉뚱한 곳에서 터져버린다.

석 달이 지난 동짓달이었다. 당시 스님의 시봉자는 경허 스님의 사제 학명 스님의 상좌인 사미 원규였다. 학명 스님은 지나던 길에 제자 원규의 부친인 이 처사를 찾아갔다. 이 처사는 한 소식을 이룬 사람으로 정평이 나 있었다. 스님은 대화 중에 “중노릇 잘 못하면 시은에 대한 업으로 소로 태어나지만, 소가 되더라도 ‘코뚜레 뚫을 콧구멍이 없는 소가 되면 된다’”는 이 처사의 말을 이해할 수 없었다. 상좌 원규에게 이 말의 이치를 정진 중인 경허 스님께 알아 오도록 시켰다. 경허 스님은 “소가 되더라도 콧구멍 없는 소”라는 원규의 말에 깨치게 된다(1879년, 12월 보름날). 그야말로 남의 일로 도(道)를 깨치게 됐다.

‘콧구멍 없는 소(牛無鼻孔處)’라는 말은 중국  법안종의 종주 청량 문익(淸凉文益 또는 법안法眼, 885~985)선사의 어록(『청량법안익선사어』·『금릉청량원문익선사어록』, 줄여 『법안록』)에 나오는 표현이다. 경허 스님은 이 말을 듣자 “백천 가지 법문과 헤아릴 수 없는 묘한 이치가 당장에 얼음 녹듯 기와가 깨어지듯” 했다고 밝혔다. 그래서 스님은 모두에게 참선을 권하는 <참선의 노래>를 부른다.

허다한 신통묘용(神通妙用)의 분명한 내 마음 어떻게 생겼는고?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