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우방의 미술 세계] 세계의 중심에 세울 조형 언어의 사리탑
상태바
[강우방의 미술 세계] 세계의 중심에 세울 조형 언어의 사리탑
  • 강우방
  • 승인 2020.09.24 15: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진 1> 비류수에 배를 띄워 오녀산성의 남동 측면을 바라보다.

우리나라 4세기부터 7세기에 이르는 100여 기의 고구려 능묘 벽화를 연구해 조형들을 풀어나가다 보니 80%에 해당하는 조형들이 뜻밖에도 만물 생성의 근원을 상징했음을 알았다. 사람들은 그 모든 조형을 ‘무늬’ 혹은 ‘문양’이라 치부했고, 필자는 조형을 해독해 영기문(靈氣文)이라 이름 지었다. 고구려 역사와 문화의 개척자 서길수 교수가 인솔하는 고구려유적 답사팀에 합류, 2005년 8월 17일 아침 주몽이 첫 도읍으로 정한 졸본(忽本=홀본)과 홀승골성(忽升骨城, 현재 五女山城)으로 향했다. 졸본의 자취가 남아 있는 환인시(桓因市)에 이르기 전 고검지산성에 올랐다. 폭포수처럼 쏟아지는 비바람을 무릅쓰고 가파른 산을 올라 처음으로 고구려의 견고한 성벽을 손으로 더듬었다. 

100여 개 산성을 거느린 고구려는 축성의 마법사 였다. 성벽 안을 바라보니 짙은 안개 속에 아련한 도원의 세계 같았다. 

 

| 무덤 안에 가득한 소우주

고구려의 첫 수도 졸본성(忽本城)은 원래 모습을 잃었으나 홀승골성의 자태는 우람했다. 정상의 편편한 바위 위에 돌로 쌓은 천혜의 성이었다. 비류수에 배를 띄우고 홀승골성의 빼어난 모습을 바라봤다(사진 1). 신령스러운 기운이 감돌았다. 홀승골성은 최초의 산성이라 내부를 주의 깊게 살펴보았다. 그러나 거의 폐허였다. 그 산성 위에서 내려다본 환인 벌판은 드넓었으나 댐으로 물이 차 있어서 옛 무덤 떼의 장관은 볼 수 없었다. ‘오녀산산성유적관’에서 장군묘 내부 벽화를 보게 되었다. 비록 복제이기는 하나 이 능묘벽화는 고구려의 첫 수도에 있는 고구려에서 가장 오래된 벽화임을 직감했다. 현재 ‘환인 미창구 장군묘 벽화’로 알려져 있다. 장군묘는 환인 지역 부근에서는 가장 규모가 큰 무덤이지만 어느 왕의 무덤인지 알 수 없다. 무덤 사방 벽과 천정에는 온통 연꽃 모양 벽화가, 천정이 시작되는 곳에는 보주 영기문이 띠를 이루고 있었다. 벽이 시작되는 부분에는 가는 띠에 기하학적인 용들이 규칙적이고 반복적으로 그려져 있었다(사진 2).

연꽃 모양 벽화 가운데 하나를 택하여 채색 분석하니 연꽃 모양은 이중의 보주를 중심으로 아래로 제2 영기싹이, 중층의 제1 영기싹이 보주에서 나와 양쪽으로 뻗치고 있었다. 그 위로 연꽃잎 모양이 있으나 자세히 보면 연꽃이 아니다(그림 1). 가운데 잎에서 보주를 최초로 조형적으로 표현한 육면체 모양이 보인다. 무본당(務本堂) 아카데미에서 요즘 보주가 동북아 전체에서 최초로 조형적으로 표현되고 전개하여 가는 양상을 강의하고 있는데. 이 과정에서 보주는 연잎 모양 사이사이로 뾰족한 잎이 나오는 사이사이에서 출현한다. 그러므로 장군묘 벽화의 연꽃 모양 조형의 주제는 ‘보주의 확산’이다. 

그다음 천정이 시작되는 부분에 역시 처음 보는 조형이 있다. 채색 분석하니 역시 보주의 생성과정을 보인다. 역시 보주 최초의 표현인 정육면체인 모양이 변형되어 두 군데 보이지 않는가(그림 2). 이런 조형도 처음 본다. 그다음 벽면이 시작되는 맨 윗부분에 가는 띠 모양에 매우 기하학적이고 추상적인 무늬들이 빼곡히 있다. 한눈에 매우 낯선 기하학적 무늬를 도저히 파악할 수 없다. 그때는 채색 분석을 하면 알아낼 수 있다. 분석하니 두 용이 마주 보며 얽혀 있는 형상이다(그림 3). 다리에 발톱도 있고 머리에는 두 뿔도 있으며 눈 표현도 있다. 두 용 사이에 보주가 있어야 하지만 처음 보는 보주의 조형이어서 정확히 해석하지 못하지만 매우 기이한 조형이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