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우방의 미술 세계] 미술·건축 속 언어 너머 진리 찾기
상태바
[강우방의 미술 세계] 미술·건축 속 언어 너머 진리 찾기
  • 강우방
  • 승인 2020.09.14 09: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그리스, 터키, 로마, 파리, 베를린 등 여러 나라 유적과 박물관을 답사하고 조사했다. 두 번째 그리스 방문, 9년 만에 다시 찾은 파르테논 신전은 여전히 보수 중이었지만 그동안 발굴조사 성과를 한눈에 볼 수 있었다. 한편 국내 답사와 조사는 더욱 활발해져 금강산을 세 번 올랐으며, 고려왕조의 수도 개성도 세 번 답사했다. 고구려 옛 도읍지들과 산성들을 오르는 감격을 누렸고, 장대한 고구려 국토를 횡단하며 백두산 천지에 올랐다. 불교의 진리는 불경이나 인도에만 있는 게 아니었다. 그리스 최고의 신 ‘제우스’와 ‘석가여래’와 ‘용’은 서로 통하고 있음도 알았다. 그런 광대한 관계를 ‘인드라망’이란 이름으로 비유하여 말했다. 

사람들은 인드라망을 그물로 알고 있지만, 그물이 아니다. 이처럼 세계의 여러 문명의 탄생지를 누비며 조형 예술작품들을 조사하는 까닭은 절대적 진리란 문자 언어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조형 언어로 된 예술작품에도 고귀한 진리가 숨어있음을 밝히기 위해서다. 

 

|    외면받는 괘불의 조형 언어

세계 여러 나라를 답사하고 발표하며 눈코 뜰 사이 없었지만, 국내 답사는 더욱 치열해졌다. 통도사의 여러 법당은 각각 독창성이 있어서 건축물에 큰 관심을 가지고 조사했다. 게다가 통도사 주요 전각들 안에는 중요한 불화들이 즐비했다. 특히 전국의 성보박물관들 가운데 유일하게 건물이 괘불(掛佛)을 걸 수 있게 설계돼 있다. 한 해에 2회 괘불 작품을 바꾸어 각각 6개월씩 전시해 온 지 15년째다. 괘불은 바뀔 때마다 정밀히 조사했다. 그곳 학예원들은 괘불을 내려서 정밀하게 조사하는 사람은 그동안에 필자 이외 아무도 없다고 했다. 그 말은 괘불 전체가 보이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슬픈 일이다. 

조선 시대 임진왜란 이후부터 모든 사찰에 봉안하기 시작한 대형 불화는 높이가 대개 10m가 넘는데 가장 높은 괘불은 14m 내외이기도 해서 걸어 놓고 보면 장관이다. 이러한 위대한 대형 불화는 우리나라에만 있다. 흔히 티베트에 더 큰 불화가 있다고 말하는 사람이 있지만, 불화를 모르고 하는 소리다. 작은 후불탱에서 볼 수 없는 무늬들이 자세히 표현되어 있어서 열심히 관찰하고 촬영하는 동안 많은 비밀을 풀어낼 수 있었다. 2004년 6월 어느 날, 통도사 성보박물관에 걸어놓은 미황사 괘불을 조사하다가 문득 불화의 본질을 발견했다! 불화를 읽는 법과 화면 전체를 해독할 수 있게 된 순간이었다. 말하자면 불화 전체에 대한 완벽한 깨침, 즉 정각(正覺)을 성취한 잊을 수 없는 날이었다. 감히 정각이라고 말한다. 그 이후 모든 불화가 보였을 뿐만 아니라 모든 문양을 읽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