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과 사람들] 어떻게 살 것인가 질문하며 밥 먹듯이 기도하라_‘사람 철학자’ 이현주 목사
상태바
[사람과 사람들] 어떻게 살 것인가 질문하며 밥 먹듯이 기도하라_‘사람 철학자’ 이현주 목사
  • 최호승
  • 승인 2020.05.29 13: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꼬리표가 많다. 동화작가이며 번역문학가이자 목사다. 무위당 장일순 선생에게 받은 ‘관옥(觀玉)’이라거나. 이름이 없는 이들을 통칭하는 ‘아무개’ 혹은 같은 뜻의 한자 ‘무무(无無)’라는 필명도 쓴다. 꼬리표가 많은 만큼 삶의 궤적도 다양하다.

1964년 신춘문예로 등단했고, 1976년 죽변교회에서 목회를 시작했으며, 동서양 유불선을 아우르며 직접 저술하거나 책을 번역하고 따뜻한 글과 말을 이웃과 나눈다. 열 번째 ‘붓다 빅 퀘스천’ 강사 이현주(77) 목사다. 그는 유나방송 대표 정목 스님, 선방 수좌 원제 스님과 ‘내 삶을 바꾸는 기도의 힘’을 주제로 ‘붓다 빅 퀘스천’ 강단에 선다.

정작 그 사람은 꼬리표를 개의치 않는다. 종교나 지위에 얽매이지 않는다. 서울 조계사에 내걸린 부처님오신날 연등 아래서 이 시대의 멘토로 불리는 그를 만나 짧지만 깊은 대화를 나눴다.

| 기도로 무엇을 얻는가

“사람의 이성과 지성을 갖고도 어떻게 할 수 없을 때 기도가 우리를 도와준다.”(법정 스님)

과연 그럴까. 세상은 제멋대로다. 내 맘 같지 않다. 지금을 사는 우리는 얼마나 행복하고 자유로울까. 기도가 우리 삶의 힘이 될 수 있을까. 공허하진 않을까. 사실 논리적으로 생각하는 영역은 아니었다. 종교에서 뭘 안다, 알았다는 이야기는 겪었다는 뜻이니까. 사과도 한 입 베어 물어야 그 맛을 안다. 기도로 무엇을 얻을 수 있는가. 이현주 목사는 말을 아꼈다. ‘붓다 빅 퀘스천’ 예고편이었다. 본편은 6월 13일에나 들을 수 있겠다. 커밍 순!

“차를 타고 어떤 목적지를 간다고 하면, 한 번도 안 가봐서 몰라. 그런데 내비게이션 그 친구는 알고 있단 말이지. 왜냐면 저 위성에서 내려다 보니까. 난 모르니, 길 좀 가르쳐 주시오. 이렇게 길을 묻는 기도가 있겠다. 또 하나, 이게 더 중요해. 길을 알고 가는데 기름이 떨어졌어. 그럼 못 가잖아. 인생도 마찬가지야. 기도해서 방향을 알았지만, 막상 살아보니 뻔히 아는데 안 돼. 내 힘이 부족하거나 기력이 딸려. 에너지가 필요하지. 그런 기도가 있지. 밥 먹듯이 기도해야 해. 난 지금 먹는 기도를 해. 사람이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그 길을 알고, 그렇게 사는 힘을 얻을 수 있다면 된 거지.”

그는 가톨릭 성직자의 말을 빌려 기도를 세 단계로 정의했다. 1단계는 생각과 말로 하는 기도, 2단계는 말이 없어지는 기도, 3단계는 사라지는 기도다. 2단계부터는 설명이 좀 필요하다. 기도하는 대상, 즉 부처님이든 하나님이든 함께 있다는 사실을 몸으로 느껴 언어가 필요 없는 기도다. 그는 말의 침묵, 침묵의 기도랬다. 3단계는 존재의 침묵이다. 기도의 끝이라고 표현하기도 한단다. 하는 사람과 받는 사람을 전제로 기도라는 행위가 이뤄진다면, 그 대상과 자신이 하나가 되는 단계다.

“신앙생활도 아이가 성장하는 것과 같아. 먹고 싶으면 달라고, 갖고 싶으면 사달라고 조르지. 부모님 주머니 사정은 생각하지 않아. 막상 그걸 가지면 자기에게 정말 도움이 되는지도 잘 몰라. 하지만 성장하고 성숙해지면 그게 참 터무니 없구나 알게 돼. 그럼 뭘 어떻게 해달라는 기도는 없어져.”

문경 봉암사 수좌 적명 스님이 과거 기도로 소참법문을 했더랬다. 적명 스님은 달라는 기도가 초등학생 수준이라고 했다. “부처님, 이제 중생 제도 그만두십시오. 제가 당신을 대신하겠습니다. 깨달음 성취해 중생을 제도하겠습니다.” 스님은 이런 서원이 바로 기도라고 했다. 기도를 바라보는 관점이 크게 다르지 않다고 목사인 그에게 전하니 “어어. 그래”라며 웃었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