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보운용의 일원작용
상태바
삼보운용의 일원작용
  • 관리자
  • 승인 2007.09.15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전강의, 소천(韶天) 원각경 강의

해설

지난호에서는 문수사리 보살이 부처님께 "이 모임에 온 모든 법(法) 듣는 대중을 위하여 '여래께서 수행하실 때 일으키신 마음 씀씀이(因地法行)'를 말씀해 주시길" 간청한 바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번 호에는 문수사리 보살이 부처님께 '이 모임에 온 모든 법 듣는 대중을 위하시어 菩薩로 대승 가운데서 깨끗한 마음을 내어 모든 병을 멀리 여윌 것도 말씀해 주시길' 간청한 바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및 (원하옵건대)1) (이 모임에 온 모든 법 듣는 대중을 위하시어)2) 보살로 대승 가운데서 깨끗한 마음을 내어 모든 병을 (멀리)3) 여윌 것도 말씀하옵시사, [及說菩薩 於大乘中 發淸淨心 遠離諸病]

1) 여기의 '원하옵건대'는 앞 구절과 본 구절 그리고 다음 구절에 두루 걸치는 바여서 첫 구절의 앞이나 마지막 구절의 말미에 두어야 하나 각 구절을 분리하여 강의하는 관계로 본 구절 앞에도 ( ) 속에 표현함.

2) 지난 번 청법내용 중 '원하옵건대 이 모임에 온 모든 법 듣는 대중을 위하시여 [願爲此會 請來法衆]' 부분은 본 구절에까지 걸리는 바여서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 )속에 다시 표현함.

3) 원전에 없는 것을 삽입.

강의

한데 보살(菩薩)이라면 유정계(有情界)를 타파한 입장에 서 있는 자이다. 유정계를 타파했으면 중생(衆生)의 지견(知見)은 아니다. 중생지견이라면 인아사상(人我四相) 등 지견이니 이것이 있으면 보살이 아니라고 금강경(金剛經)에 말씀하여 있다.

그러므로 보살은 피아(彼我) 관념이 없이 수행(修行)하는 자이다. 즉 나[我] 하나의 성불(成佛)이 아니요, 일체 중생과 함께 성불을 바라는 것이다. 피아가 없는 까닭이다. 원공법계제중생 자타일시성불도(願共法界諸衆生 自他一時成佛道)가 바로 이것이다. 이렇게 수행함이 대승(大乘)이고 소승(小乘)은 소극적인 자기 혼자의 성불을 위하는 수행이다.

피아가 없이 하나로 보는 수행은 둘 아님에 순히 따름인 수행이다. 둘 아님에 순히 따름은 마음이 깨끗해서만 되는 것이다. 깨끗하므로 피아가 서지 못하고 피아가 서지 못하므로 사상(四相)지견에서 오는 모든 병괘(病 )를 여읠 수 있다. 금강경에 일체상(一切相)을 여의면 곧 불(佛)이라 하셨다. 그러나 소승 수행의 깨끗한 마음은 능히 생사(生死)를 여읜다 해도 소극적인 면에서 생사를 여읨에 불과하다. 공(空)을 만족으로 한 자일신(自一身)의 제도(濟度)에 불과한 분단적(分段的) 생사만을 여읜 것이다.

그러나 대승 가운데서의 깨끗은 이러한 소승과 외도(外道)의 명을 여의어서 마(魔)와 불(佛)이며 유정과 무정을 함께 제도하여 생사와 열반이며 제도와 비제도(非濟道)가 없는 법신으로 한 몸인 듯 자재(自在)함인 것이다.

이 까닭에 문수 보살께서 '대승심을 발한 보살로 하여금 이러한 경지에 까지 들어갈 것'을 여쭈어 본 것이다.

해설

본 구절은 문수사리 보살이 부처님에게 이 모임에 온 모든 법(法) 듣는 대중을 위하여 두 번째로 '대승심을 일으킨 보살로 하여금 법신으로 한 몸인 듯 자재한 경지에 들어 모든 병괘를 여읠 수 있도록 말씀하여 주시길' 간청한 부분이다. 위 강의에서 보듯 대승심을 일으킨 보살이란 소승과 달리4) 아상(我相) . 인상(人相) . 중생상(衆生相) . 수자상(壽者相) 등 사상(四相)을 여의어 피아(彼我) 관념이 없이 일체 중생과 함께 성불(成佛)을 바라는 수행을 하는 분들을 가리킨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