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재의 인식을 우주론적 차원으로 확장
상태바
존재의 인식을 우주론적 차원으로 확장
  • 관리자
  • 승인 2007.10.28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특집/가려뽑은 불교명시 4편 /김달진의 「씬냉이꽃」

씬냉이꽃

사람들 모두

산으로 바다로

新綠철 놀이 간다 야단들인데

나는 혼자 뜰 앞을 거닐다가

그늘 밑의 조그만 씬냉이꽃 보았다.

이 宇宙

여기에

지금

씬냉이꽃이 되고

나비 날은다.

월하(月下) 김달진(金達鎭(1907~ )은 경남창원에서 출생하여, 1929년 「문예공론(文藝公論)」에 첫 작품을 발표하였으며, 「시원(詩苑)」, 「시인부락(詩人部落)(1936)」동인이었다. 한편으로 그는 금강산 유점사에 입산하여 승려생활을 하기도 하였고, 해방 후에는 하산하여 교편생활을 하였으며, 지난 30여년 동안 한국고승시문집을 비롯한 불경의 번역사업에 진력하였다.

그는 승려이며, 시인이교, 학자이며, 교사였다. 그러나 그는 세간에 나아가 세속의 일에 골몰하기보다는 세간에서 물러나 산간에서, 향리에서 그리고 서울에 올라온 후 에도 은둔생활을 계속하였다. 그가 너무 은둔하고 있었던 까닭에 한때 작고시인으로 생각되기도 할 정도 였다.

시인으로서 그의 시가 문제되는 것은 불교적이며 노장적 전통의 시 세계를 그가 잇고 있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시인들의 서구시에 압도되던 시절에 문단에 등단한 그가 평생을 지켜온 것은 동양적 정신세계이며, 거기에 서려 있는 시심일 것이다. 그가 세간에 별로 알려지지 않았던 것처럼, 그의 시에 대한 연구도 별로 이루어진 바가 없다. 그의 시가 정리되고 약간 논의된 것은 김달진 시전집1 「올빼미의 노래(1983)」 김달진 시전집2 「큰 연꽃 한송이 되기까지(1984)」에 이르러서이다.

이는 그가 첫시집 「청시(靑柿)(1940)」를 간행한지 40여년이 지난 다음의 일이다. 여기에는 두 가지 이유가 있다고 본다. 하나는 그 개인의 은둔적 기질 때문이고, 다른 하나는 그의 시가 지닌 특질 때문이다. 후자의 경우 서구적 방법론에 의한 인식론적 접근으로 그의 시를 해석한다는 것이 지극히 어렵다는 점에서 각별한 주의를 요한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