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미산 순례기 ] 38.대하(大河) 드라마의 회향(回向)
상태바
[수미산 순례기 ] 38.대하(大河) 드라마의 회향(回向)
  • 김규현
  • 승인 2007.09.28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수미산 순례기(마지막회)

야 룽장포는 히말라야를 휘돌아 벵갈 만(Bengal 灣)으로 떠날 때가 되었다.‘수미산 화두’를 들고 설역고원(雪域高原)을 헤메인 지 벌써 3년. 가슴 속에 자리잡았던 수미산 환영(幻影)의 실체를 확인하고자 올라온 티벳 고원에서의 짧지 않은 시간들은 그렇게 이미 과거의 한 부분이 되어버렸고 그리고 이제는 정말 떠날 때가 된 것이다.

떠나기는 해야겠는데, 그 전에 해결해야 할 문제가 앞에 가로 놓여 있었다. 다름 아닌 내 영혼의 문제였다. 이미 오래 전 내 영혼은 수미산 아래의 시냇물에 풀어 내렸기에, 그것은 물길을 따라 지금도 흘러 내려오고 있을 것이기에, 그것을 다시 건져야 했기 때문이었다. 그 다음에야 이 설역고원을 떠날 수가 있을 터이니까 … .

그러기 위해 일단은 이 글의, 3년 전의 ‘프롤로그’를 회고해 보도록 한다.

아주 먼 옛날부터 우주의 중심축(重心軸)으로 알려지게 된, ‘수미산의 모델이 되었던 성스러운 산’이 있었다. 그 산은 실제로 대설산 히말라야 산맥 너머 티베트 고원에 솟아 있었는데, 많은 이름을 가지고 있었다. 범어인 카이라스(Kailas)를 비롯하여 티벳어로는 강디세·강린포체 그리고 한어로는 향산·향취산·곤륜산·게라사산으로도 불려왔다. 또한 이 산은 불교를 비롯한 4대 종교의 뿌리였으며 그리고 샤마니즘과 딴트리즘도 역시 이 곳을 모태로 삼기도 하였다.

10년 전 해동의 나그네는 어떤 부름소리에 이끌려 여러 이름을 가진, 그 성스러운 산에 천신만고 끝에 당도하였고, 그 산의 북면(北面) 아래의 냇가 - 갠지스와 인더스의 발원지이며 분기점이 되는 시냇물 - 에서 황하와 양자강의 발원지에서 그랬던 것처럼, 연꽃초를 꺼내 불을 붙여 가만히 물 위에 내려놓았다. 그리고는 가만히 두 손 모아 합장하며 다음과 같이 기원하였던 적이 있었다.

“내 지금 이 연꽃에다 내 영혼을 풀어 얹으리라! 그래서 너를 따라, 내 영혼을 따라 흘러흘러 바다에 이르리라. 갠지스면 어떻고 인더스면 어떠하리… .” 그렇기에 당연히 해동의 순례자의 발길도 그를 따라가야 하였지만 그 물길은 현실적으로 날개를 가진 새들 이외에는 따라 가기가 불가능하였기 때문에 우선 갈 수 있는 곳까지 가보고 그리고는 최후의 지점에서는 내 영혼을 다시 건져 낼 수밖에 없었다.

성스러운 산에서 발원한 네 개의 시냇물 중에서 동쪽으로 흐른 마천하〔馬泉河, 즉 범어의 착수(Ckaksu), 티벳어의 탐촉감밥〕의 일생은 마치 한 편의 대 서사시(敍事詩)에 비유될 수 있다. 아시아대륙 서부의 파미르 고원에서 솟아올라 동쪽으로 2,400km를 뻗어 내린 ‘신들의 정원’의 주인인 히말라야 여신들과 영웅호걸들이 엮어내는, 그런 장쾌한 대 서사시말이다.

‘야룽장포곡(曲)’이란 이름의 이 대하 드라마는 여신의 그 하얀 피부인 만년설이 녹아 내린 그 ‘순결한 눈물’가닥가닥을 황량한 설역고원에 흘려 보내며 복잡다단하게 전개되어 나가는데, 이는 설역고원의 뭇중생들을 먹여 살리는 젓줄로서의 역할을 상징적으로 묘사한 것이기도 하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