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교에서의 제례의 의미와 의식
상태바
유교에서의 제례의 의미와 의식
  • 관리자
  • 승인 2007.09.2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특집 - 제사

제례(祭禮)의 의미

제례는 관례(冠禮), 혼례(婚禮), 상례(喪禮)와 더불어 동양사회 일반에 적용되어 행해져 온 전통적인 ‘네 가지 의식활동〔四禮〕’ 가운데 하나이다. 특히 제례는 매년 돌아가신 조상을 돌아가신 당일에 술과 음식을 신위 앞에 올리면서 추모하는 의식활동이다. 『예기(禮記)』에 의하면, “제례란 길러 준 어버이를 추모하여 효행을 이어가는 것”이라 정의하였고, 『서경(書經)』에서는 “사람이 정성껏 신(神)을 보살피는 것”이라 하였으며, 또 ‘사람과 신의 만남’으로도 설명된다.

신은 그 종류가 많다. 돌아가신 분 하나하나가 모두 신이며, 돌아간 사람외에도 하늘과 땅과 곡식 등 특정 사물을 대상으로 제사를 올리는 경우도 허다하다. 옛날 천자국에서는 하늘에 제사하는 천신제(天神祭)와 땅에 제사하는 지지제(地祗祭)가 있었고, 제후국에는 왕궁 우측편에 토지신에 제사하는 사(社)와 곡식신에 제사하는 직(稷)이 있어 이곳을 합하여 사직단(社稷壇)이라 하였고, 좌측편에 역대 임금의 위패를 안치하여 제사를 올리는 종묘(宗廟)가 있어 매년 정기적으로 제사의식이 행해졌다. 또한 가정에는 사당을 마련하여 조상을 받드는 가묘(家廟)가 있고, 학교에는 학문을 숭상하고 큰 스승을 받드는 문묘(文廟)가 있다. 이와 같이 나라에서의 종묘와 학교에서의 문묘와 가정에서의 가묘는 명실공히 군·사·부(君師父) 일체를 상징하는 교육적 가치와 공동체적 지도이념의 초석이 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무엇보다 제례의 기본정신을 가장 분명히 밝혀 준 사람은 공자이다. 공자는 『논어(論語)』에서 조상에 대한 “제사는 마치 살아 계신 듯이 제사에 임하고, 신에게 제사를 올릴 때는 신이 그곳에 나타나 계신 듯이 여기고 제사드려야 한다.”고 하였다. 결국 제사는 제사를 올리는 사람의 정성된 마음이 돌아간 사람에 대하여 실제로 살아계신 듯이 생각하여, 얼마나 경건한 마음과 올바른 절차에 따라 착실히 시행하는가에 달려있다고 할 것이다. 돌아가 보이지 않는 가상(假相)에까지 경건한 정신과 정성된 마음으로 제례에 임하는 사람이라면 살아 있는 사람에 대하여는 두말할 나위없이 따뜻한 온정과 덕을 베풀게 될 것은 명약관화하다. 따라서 제사는 돌아간 사람에 대한 추모와 동시에 산 사람들에 대한 참교육적 가치를 지닌다.

제례의식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