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신정려(凝神靜慮)
상태바
응신정려(凝神靜慮)
  • 관리자
  • 승인 2007.09.17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나의 인연이야기

정신을 한 곳에 엉기게 하고 사려를 조용하게 가라앉힌다는 것은 어떠한 경우에도 중요한 일이다.

모든 동요가 먼저 하였을 때에만 있을 수 있는 현상이다. 동(動)이 정(靜)을 전제하듯이 정(靜) 또한 동(動)을 전제하지 아니하면 존재할 수 없다. 이런 논리에서 무(無)와 유(有)도, 음(陰)과 양(陽)도 어느 한쪽만 있을 수 없으며 또 인식도 되지 아니한다. 결국 선(善)과 악 (惡)도 같은 개념의 의식이다.

그뿐 아니라 모순의 현상을 중용(中庸)과 화해로 통일케 한다거나, 자연의 묘(妙)를 구현 하려는 무(無)의 경지를 전개하는 오도(悟道)에서 집착에 얽매이는 기반에서 완전한 자유를 추구하여 획득할 수 있는 필봉조극(筆峰造極)이 바로 서법(書法)이다. 이 모든 도정(途程)은 불교에서의 선(禪)과 일치한다고 하겠다.

그리하여 중화(中和)를 주로 하는 유가(儒家)의 이념과 자연과 무(無)를 추구하는 도교(道敎)의 원리나 공(空)과 색(色)의 일치와 의식과 무의식을 초월하여 오(悟)와 각(覺)의 세계를 주장하는 불교가 한 곳에 만난다는 특징을 뚜렷이 한 서법예술(書法藝術)은 동방의 특수문 화일 수밖에 없다.

서법예술의 추구하는 심적(心的) 경지는 무엇보다도 응신정려(凝神靜慮)를 바탕으로 하여 열리는 정신세계이다.

사회생활에 있어서도 무(無)와 유(有)는 극히 반대되는 모순현상이라 할 수밖에 없으나 무(無)에서는 유(有)가 있을 뿐 유(有)에서는 유(有)라거나 무(無)에서 무(無)라는 이론은 성 립되지 아니 한다. 특히 무(無)에서 출발하는 유(有)는 가치 있는 유(有)가 될 수 있어도 유 (有)에서의 유(有)와는 다르다는 말이다.

신라의 최치원(崔致遠)은 그의 「난랑비서(鸞郞碑序)」에서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