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실지견(如實知見) _ 귀스타브 쿠르베
상태바
여실지견(如實知見) _ 귀스타브 쿠르베
  • 보일 스님
  • 승인 2023.01.24 09: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그림 속에서 찾은 사성제 이야기
‘19세기 회화의 혁명’ 사실주의 화가 귀스타브 쿠르베

“세존께서 가사를 입고 발우를 들고 사위성(舎衛城)에 들어가셔서 성안에서 걸식하고자 차례로 탁발하고 본래 계신 곳으로 돌아오셨다. 공양을 드신 후 가사와 발우를 거두시고 발을 씻고 자리를 펴고 앉으시었다.” 대승경전 『금강경』 도입부에서 법회가 이뤄지게 된 인연을 설하는 내용 중 일부다. 

이 대목을 잘 음미해보면 대승불교의 태동 이후 신격화된 붓다와는 너무나 대조적인 붓다의 인간적인 모습이 또 다른 감동으로 다가온다. 아무리 탁월한 깨달음을 성취하고 높은 이상을 추구하며 살아갈지라도, 자신을 따르는 수행자들을 이끌고 마을로 내려가 탁발해야 생명과 수행을 이어갈 수 있다. 공동체를 이끄는 수장으로서의 책무를 다해야 하는 것이다. 심지어 어떤 날에는 탁발하러 갔지만 아무런 공양도 받지 못하고 되돌아왔다. 이것이 이 땅에서 삶을 살아내는 생명들의 진실이다. 

특히 “발을 씻고”라는 문장에서 알 수 있듯이, 깨달은 성자라고 해서 구름을 타고 다니거나 허공중에 떠다니는 존재는 아니다. 현실에 발을 딛고 사는 뭇 삶의 모습이 다 그런 것이다. 이렇게 『금강경』은 붓다의 일상을 생생히 묘사하면서 그 성스러움에 관한 종교적 판타지마저 여지없이 깨버린다.   

 

19세기 회화의 혁명’ 사실주의 화가 쿠르베

서양화 전통에서 바라보면 불교는 일종의 ‘사실주의(Realism)’다. 욕망 속 왜곡된 시선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과정에서 생기는 뒤바뀐 견해를 붓다는 통렬히 고발한다. 세상이 아무리 아름답고 쾌락을 준다 해도 결국은 고통으로 귀결된다. 이것은 붓다가 깨달은 네 가지 성스러운 진리인 사성제가 잘 말해준다. 어린 싯다르타 태자가 출가를 감행하게 된 동기도, 깨달음의 내용도 모두 뭇 생명의 고통을 응시하는 데에서 비롯된다. 붓다의 시선에는 세상에 대한 과장된 미화도 진실을 비껴가는 왜곡도 없다. 여실지견(如實知見), 말 그대로 있는 그대로를 냉철하고 날카롭게 꿰뚫어 본다. 깨달았다고 해서 천상의 이야기를 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발 딛고 서 있는 이 땅 위에서 벌어지는 삶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깨달은 자나 구원자 혹은 신격화된 인간이 아닌 바로 이 세상의 뭇 삶들에 대한 이야기다. 

또한 죽음 이후의 내생을 이야기하는 게 아니다. 바로 지금의 생을 어떻게 살아내야 할 것인가에 대한 이야기다. 현생과 내생의 복을 간구하는 게 아닌, 현생에서 지혜와 자비를 구현할 방법론에 대한 이야기다. 꿈속도 환상도 아닌 깨어 있는 바로 지금, 이 순간에 대한 이야기다. 그렇다면 세상을 있는 그대로 바로 보고 표현한다는 건 어떤 모습일까. 그 질문에 해답을 해주는 화가가 바로 ‘귀스타브 쿠르베(Gustave Courbet, 1819~1877)’다. 

“자기가 속하는 시대의 풍속, 관념, 현실을 본 대로 그린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